Open borders...

Assistance for Vulnerable North Koreans

Hosted by The Isabella Foundation

WASHINGTON, DC
Wednesday, April 28
7:00 PM EST

SEOUL, KOREA
Thursday, April 29
8:00 AM KST

Event Description


Opening Borders... Taking on the theme of Opening Borders... will be Dr. Pavel Klein of the Isabella Foundation who will host a sess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vulnerable population especially children in North Korea and how can humanitarian assistance be provided to address this population. The defectors also want to explore during this session ways to open borders so that divided families can reunite and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Discussion Topics

  • Human Rights, Women Rights, and the Food Shortage Situation in North Korea

  • The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 Orphanages and Orphan Rescues

  • Challeng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한국 영상이 곧 공개됩니다

English Transcript

NKFW 2021 - Open Borders hosted by The Isabella Foundation


Wednesday, April 28, 2021 at 7:00PM


Pavel Klein

Hello everybody and thank you for joining us tonight. I apologize for the long delay in starting. This is one of a number of programs that are happening this week as part of North Korea Freedom Week, which takes place once a year organized by the North Korea Freedom Coalition with Suzanne Scholte and Kim Seong Min on the US and Korean sides, respectively, leading the effort. It's been going on now for almost 20 years. And this year's theme is Open North Korea, which speaks for itself, Open Hearts, Open Minds, and Open Borders. And there are a number of exciting programs. So if you get a chance, look at the program. I think you've all been emailed the website and have access to it.


We are starting late and my great apologies for that. And the reason why we're starting late is because there has been a little bit of a misunderstanding. As you know, there is a 12-hour difference between us and Korea. The defectors who were speaking today are in Korea. And I think the time zones didn't translate correctly. So we are currently without the intended speakers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time was in Korean time, and we're just in a little bit of a spot.


So what we shall do instead, and I greatly appreciate your patience, is we will have the organizer of the week speak, followed hopefully by the Korean organizer of the week, and then have a general discussion. So before we do that, a word about the sponsorship for the evening. The evening is being sponsored by Isabella Foundation. We are a charity with a mission to help North Korean orphans, both within North Korea getting them out of North Korea and those that are in China, helping them in China and helping them out of China. That was the original mission. We have expanded the mission in the last couple of years to also help women from North Korea who have been trafficked to China. And I think you all know that this has been a big issue. North Korean women going to China to earn money or get food for the family, food being scarce in North Korea, often go under this naive expectation that they'll find a job, send money back to North Korea, and return. They are taken across the border and then trafficked, sold into slavery, not just sex, but slavery period. So we are concerned with helping them and helping those that can't be helped.


With that,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first non-planned speaker for the night, and that is Suzanne Scholte. Suzanne is a remarkable woman whom I have had the great fortune of knowing now for close to 15 years. So, way before North Korea was on anybody's mind, Suzanne realized the plight and hardship of the country, which is essentially one big concentration camp, and started, single-handedly, efforts to try to help the country and its people. And her energy is just phenomenal. No number of nuclear power plants can equal Suzanne's energy, and she has applied that energy across the spectrum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She's also got an interest in human rights elsewhere in the world. But the spectrum of her activity is just astonishing. And it ranges from the single individual who is in distress in North Korea, China trying to escape to passing acts of Congress in the US and everything in between. She is probably the most engaged person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She has received recognition for that. Amongst that recognition is the Seoul Peace Prize, which is awarded I think once every three years or so and other recipients of that award before her were Vaclav Havel and George Shultz from the Czech Republic and the US Secretary of State.


So with that, I think we're very, very lucky to have Suzanne to talk to us. And Suzanne has been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as it has evolved during the COVID-19, which I think has struggled there, in terms of its consequences, extremely harshly. We don't know how bad it is in terms of health outcomes. But we know that the secondary consequences, namely on economy, people's welfare, and the policing of the state have been very severe. So, with that, Suzanne, thank you so much, and the floor is yours.


Suzanne Scholte

Well, thank you very much, Dr. Klein. I really appreciate you. With that incredible introduction, I want to thank Isabella Foundation for sponsoring this session. The theme for this 18th Annual North Freedom Week is Open North Korea. And we had a session earlier this week with AEI on opening the hearts of people in North Korea. And then just this evening, this afternoon, opening the minds of the people in North Korea. And now we're going to be talking about opening the borders of North Korea.


I want to start by saying that this pandemic is one of the reasons why we had to go virtual. Last year, North Korea Freedom Week was all virtual, but the events were isolated in the sense that they weren't interactive, like we're doing now. So, the thing that's unique about this year's North Korea Freedom Week is we were having the defectors present jointly with very well-known and highly regarded institute's here in the United States, like Isabella Foundation, so I'm really grateful for that.


Now, also because of the pandemic, we have a situation where we don't really know how bad things are in North Korea. This is an example of why opening borders, opening North Korea is so important. I want to tell you what the North Koreans say, what is said about North Korea, regarding COVID. And what are some of the facts that we do know. First of all, North Korea claims they have had no cases of COVID and that they have the best medical system in the world. So, they had the best responses to the pandemic. And they've refused help. Ev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fered to provide vaccinations but Kim Yo Jong, Kim Jong Un's sister, rebuffed that saying they didn't need them. So that's what the North Koreans are claiming. But we don't really know the extent of what's going on in North Korea. And that's why it's so important for the opening for information and to continue to have this exchange of information back and forth and across borders. So, what is said, well, by WHO, if you go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site and you look up the number of cases by country, there's information about all the different countries. The information in North Korea says that there's no confirmed cases of COVID. And there are no deaths. And all recent testing that North Korea has done has come back to be negative so that there's no new examples of COVID that have happened since the new year started.


So, what is fact? Now here's what we know is fact. We know that North Korea was the first country to shut down. They shut their border on January 22nd, 2020. They were the first country to shut down. And because of that close border with China, we expect that there actually was a severe outbreak of COVID in North Korea. Some of the rumors that we've heard have come out is that people were basically locked up that had COVID. We know that over this past year only 229 North Koreans were able to escape, which is a dramatic drop over the years. It's the lowest number in 20 years that were able to get out. We also know this: it is a fact that there's a shoot to kill order. So, North Korea has been terrified of COVID: they have a shoot to kill order, they have closed or shut their border down, and they have warned citizens in China to stay away from the North Korean border. And interesting to note is, and again I'm just giving you some of the facts that we do know, is that during the Eighth Congress meeting of the Korean Workers Party, we noticed that all the Korean Workers Party members, none of them were wearing masks! So,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able to prevent COVID from coming into Pyongyang. And we suspect, I'm giving you, that's a fact because you can see the pictures of the Korean Workers Party, but we suspect that they did have such a dramatic shutdown and they shut areas down that did have a COVID outbreak, that they were able to keep it out of Pyongyang.


Now all of this is to say that this is why information getting in and out of North Korea is so critically important. And some of the witnesses, which I hope will be joining, have been documenting what's actually happening inside the country. And we do believe, this is another fact, that Kim Jong Un has been warning that there is going to be another Arduous March. And so, what that tells us is that he is anticipating that there will be millions of people that may starve to death. So, there isn't a more important time, I believe, than right now to be coming up with ways that we can help open up the border of North Korea. For examp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doing everything it can to stop information from going into North Korea. And we know that the people of North Korea are hungry for information. We also know that there are defectors that have made it to China that are in detention in China right now. And so, this is something that gives us an opportunity to get them safely resettled to South Korea. And that's something that we've been calling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do. And as you know, Pavel, there's so many children, orphans and children, that have been impacted by the starvation. In the past, I know Isabella Foundation has been very involved in helping trafficked women and trying to help and shelter orphans. Well, we can anticipate that we probably have a situation that is just as bad as what happened in the past when there were so many children that lost their parents because of starvation during the Arduous March. So, one of the things that we're trying to do is to call on the humanitarian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to offer humanitarian aid. It's something that the U.S. Congress has been very much in support of, and we have, we're going to have a lot, because of the Operation Warp Speed, the US is going to actually have a lot of extra COVID vaccines, and we should be offering to do what we can to help the people in North Korea. And I think that those are some constructive things that we can do. Because they also show the people of North Korea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ally cares about them.


One of the things that came out during some of the interviews we've had with some of the recent defectors is they had believed that the US government, if it was the Republicans that were in control, they wanted to destroy North Korea with nukes. If it's the Democrats in control, they think that the Democrats want to starve them to death. And of course, all of that's a complete lie, because the U.S. Congress has been completely united in standing up for the human rights of the North Korean people, but also in sanctioning the regime. And these economic sanctions have had a direct and powerful impact on the regime itself. We know that they have had an impact. But the North Korean people need to know that the U.S. Congress very carefully crafted the sanctions, so that they would not impact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that is something that the people in North Korea need to know. And that's why there is such an importance in getting information in: they need to know the truth about how our American people, how our Congress, how they deeply care about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unfortunately, we're in this really dangerous period, whe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preventing the flow of information from going in and directly doing the bidding and doing the requests of the Kim regime.


So, it's really important for organizations like Isabella Foundation with the work that they're doing, to continue to be raising awareness about what's happening and trying to come up with ways to help save refugees in China, save trafficked women that have been trafficked, but also protect the orphans. So I just want to make those points about the situation and I know that Kim Seong-min is on. Regarding information, we are not having as many people escape as we have in the past, so I know that Kim Seong-min has been in direct contact and is continuing to get information out. So, it would be good to have Kim Seong-min share a bit about what he's hearing about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Is there no COVID? Is everything fine? Are they getting ready for another Arduous March? And what are the things that he's hearing from people in North Korea? So, if we could have Kim Seong-min share his thoughts about the situation currently in North Korea.


Pavel Klein

And for those of you who may not know it Kim Seong Min is another extraordinary perso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quite some time ago, and has been actively disseminating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both in the out of North Korea and back into North Korea and has been running a radio broadcast that is run by defectors with him in charge and has got a network of information gathering within North Korea. That allows information to come out of North Korea and then be broadcast back into North Korea. The free North Korea radio is very popular in North Korea and listened to avidly and is a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West often not reported elsewhere. So, Kim Seong Min. Thank you.


Suzanne Scholte

We also see Kim Hee-yeon has joined us and maybe after Kim Seong Min shares a little bit about what information he has. We can go to Kim Hee-yeon.


Pavel Klein

Alright then, we are being joined by two of the speakers. And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I know it's been a little bit of a challenge. So, thank you for joining us. And, Kim Hee-yeon, very nice to meet you. I'm Pavel Klein from the Isabella Foundation.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tonight US time, morning, Seoul time. Are you ready?


So let me introduce Kim Hee-yeon. Kim Hee-yeon left North Korea in 2014. She had worked at Onsong Regional Propaganda Department as a painter, and she is currently pursuing a bachelor's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the Kyung Hee University. She is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North Korean Defector Women. She will talk to us ab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we're very lucky to have her.


Now before Kim Hee-yeon starts, perhaps the rest of everybody else who is not speaking if we could put our microphones on mute. That would be wonderful. And if you wouldn't mind translating that into Korean that would be great. Thank you.


So, thank you so much. Kim Hee-yeon, you can start, thank you.


Kim Hee Yeon

My name is Kim Hee Yeon. I would like to speak about how to support the activities for North Korean women's human rights and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thank Dr. Klein and Ms. Scholte for this opportunity, so that I could speak about North Korean women's human rights.


What I would like to touch upon is that in South Korea in 2019 there was Ms. Han Sung Ok who died from starvation. So not just about North Korean women's rights, there is an aspect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even for marginalized groups and women in South Korea. So we are trying to expand our activities not just for North Korea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really dire and we're short on funds and aid and there's a lot of obstacles that we need to overcome. A lot of people say that North Korean people left the land of death. In North Korea there was no electricity, no food, and then after we came to South Korea they said there is electricity, there is food to eat. But then the reality of North Korean women who defected to South Korea, there are many North Korean people who are still in darkness and pain and they even regret. Why did we come? Why do we need to starve after we came to South Korea? So some people actually gave up their life. This is not just one person's work. We have to actively help ou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 well in their new country. This is our pleading and our wish.


And according to this government,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ies, yes, they have to delegate their aid to different types of marginalized people. But then there is no specific or special aid available for North Korean people. I don't know if there was actually a policy that was designed to help us. But then the reality, the aid that we feel on our skin, it's not there, it's far from us. And, as I mentioned before, the North Korean defector starved to death. And of course, I would like to believe that the current administration will and is doing something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But I don't know, the North Korean defectors or refugees that are actually living as South Korean citizens, the righteous citizens that have the right to all of the same policies and the benefits and help. So the single moms, the North Korean defectors, women who are single moms, and I just like to say that just because there is the basic freedom, you can go out on the street and walk on the street, and you have food to eat. That's not everything. That doesn't mean that this person is living a happy life. And remember, these people defected from North Korea, they are away from their family members and their friends, they are lonely in this new country. Even if there is aid available, then I have to speak of Han Sung Ok, a mom and son's starvation. And this was very discouraging, despairing for a lot of North Korean people who defected to South Korea. And I think they were just meeting basically the minimum living condition. So as the person who is in charge of this organization who is working to help these North Korean women, there are many different aids and help that are needed. And I think it has to be helped, not from just the Korean government, it has to be coming from outside of the country, as well.


North Korea, it was the country that we escaped. We grew up there and we gave up everything and we left the country and then came to another country to live better, but then the reality could be far from it. So I would like to say to Pavel Klein that I am pleading since you're here and currently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on just cut off all the aid and fund benefits that were available to North Korean defectors, especially women. So,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y were marginalized within a group that are North Korean defectors, and you need to find them and see how they're living. And I know that I am not really speaking very well, today, I am just speaking of whatever comes to my mind. And it lacks preparation, I guess. But then, once again, I sincerely hope, the new policies and help and aid will be available for this marginalized group with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So please help us, please do not stop paying attention to us. Thank you very much.


Pavel Klein

Thank you so much Kim Hee Yeon for that presentation.


I would like to ask if I'm Dr. Lee Ae Ran to speak. Dr. Lee Ae Ran left North Korea in 1999. She has a PhD in food and nutrition from the Ewha Women's University. She's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Free Unification Culture. She won an international food competition in Korea. She has been an ambassador of the National Unity. And in 2010, she won the United States State Department International Women of Courage Award. That's an award given to women with extraordinary engagement in dangerous and self-effacing situations. And she was presented that award by then Secretary Hillary Clinton. Dr. Lee Ae Ran will talk to us about human rights, women rights, and the food shortage situation in North Korea. So,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And please the floor is yours, as we say in English.


Dr. Lee Ae-ran

Hello, everyone. Yes, I am here and thank you for the introduction. I apologize for our glitch in communication. I defected in 1999 and I was able to reap a lot of benefit more than other defectors. I would like to share a little bit about the human rights reality.


I want to share the reality of the human victim of human trafficking of North Korean women in China. They even called North Korean women in China as a pig. And that's such a telling reality. About 80% of our defectors are women, and many of them were victim of human trafficking in China. And they come to South Korea and try to settle. But none of the politicians in South Korea are paying attention to this plight. And many North Korean defector females suffer sexual violence and slave like labor and when they come to South Korea, they get victimized again in South Korea. And that's manifested in the Han Sung Ok incident where this mother and son starved to death. And many people question why didn't they ask for help? Why didn't they work? She was a victim of human trafficking. And she barely escaped to South Korea, and they began to settle. Now as a mother, she longed to see her child in China. So, she went back to China. And she ended up meeting that man again. And she came with that man to South Korea. While she was pregnant with the second child, she experienced physical abuse, violence. And because of that trauma, the child was born with a seizure handicap. And she has fits of seizure occasionally, so the mother had to take care of the child, she could not work. And the man was dysfunctional. So, she could not pay the phone bill. And her phone service was disconnected. And she was like a lonely island. So, she ended up starving to death with her child. So North Koreans in North Korea, in China, in South Korea, in all these three nations, North Korean women are suffering. Among 35,000 defectors, 80% are women, because that tells how severe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women in North Korea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suffering in the domestic life they are engaging in. They suffer so much suffering during the journey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It's a dangerous and very difficult journey in harsh conditions. They have to worry about their child, their child cannot cry on the way to escape. They have to worry about diapers and many other needs. So, the 80% of that 35,000 defectors means that North Korea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suffering in North Korea, for women is worse than men.


So, when they come to South Korea, they know that freedom is more important than life itself. Now, I know this is the 18th year of North Korean Freedom Week and I believe that this event has to be held in Pyongyang someday. What North Korean people need the most is not food, but it's freedom. They are not ignorant people or stupid people. They hunger and thirst for freedom. They want to fight for freedom. They want to struggle for freedom, with their own strength. The wisdom and knowledge they want to achieve. They have the capacity to make North Korea one of the most prosperous nations in the world if they are given an opportunity. I know that the United States is like a benchmark for freedom and democracy. I thank you and I continue to encourage you for your effort to work for freedom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 heard about the emergence of the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after World War II. I heard that many Korean compatriots in the foreign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like Syngman Rhee, insist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to be modeled after a free democratic government like the United States. Now, the 35,000 defectors in South Korea work together with the citizens of the world, so that they will topple the North Korean regime. And we want to give the gift of freedom to North Korea. We want to be able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democratic free government in North Korea. So, I want to continue to dedicate my life for this effort.


And now I have become the chairperson of a coalition for North Korean freedom. I regret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assed an anti North Korean leaflet law. I learned that Park Sang Hak is missing right now. During this week, I would like to propose this Moon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if they prevent the information from flowing into North Korea. I want to raise in other countries that we want to go to the core of the North Korean embassies in different countries, we all share, like awareness, almost like physically throwing the leaflets into the embassy building. I tried that in Spain. And even in New York, I know there is a North Korean embassy and I would like to dump leaflets into their building. So if the North Korean embassies are bombarded in all these countries with leaflets and information, mayb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ill plea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lease dismantle that anti-leaflet law. Maybe North Korea will pressure South Korea to lift the law.


Now North Korean people want to reform and open the society, but they have to have a roadmap. And I think these defectors can help them establish the roadmap so that their hope and plea for freedom is more concrete and has more direction and trajectory. And we'd like to assist in that effort. We have made a draft constitution for North Korea already. And we want to promote individual freedom, the right to own private property, and elections. These are some of the core values that we want to instill in the Constitution that will be for a new North Korea. And I believe that's one of the gifts, or the best gift that I can provide for my people in North Korea.


I thank you. Suzanne Scholte and Dr. Pavel Klein of Isabella Foundation. And I thank my colleagues for this freedom movement. I wish this kind of event could happen in front of White House or even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I regret that we cannot meet in person, but I'm grateful for this online event and I am waiting for the time to meet in person. I encourage all of us to continue to work hard. And I especially thank you again for Suzanne Scholte and Dr. Pavel Klein. Freedom for North Korea! Democratization in North Korea! Let's all work together for this. Again, thank you. Great to see you Dr. Suzanne Scholte and thank you Kim Seong Min for organizing us at the last minute, thank you very much.


Pavel Klein

Thank you. So, with that, if I could introduce Han Soo-ae. She left North Korea in 2016. She attended school in Pyongyang. After graduation, she worked at a liaison office for South Korea for two years, she worked at a North Korean overseas restaurant in Cambodia. And she's currently attending Seoul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She has been a panelist on the South Korean TV show "Now On My Way to Meet You" which is a host show featuring North Korean defectors. She will talk to us about challeng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So, Han Soo-ae,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and please, the floor is yours.


Han Soo-ae

Thank you so much. Hello, everybody. My name is Soo-ae Han. So, I was working in Pyongyang and an overseas restaurant. So first, let me thank you all the stakeholders and organizers for this meaningful event. And I just want to say this is my first time participating in a meeting or a session like this and I am a little nervous because I am talking with other North Korean defectors and organization organizers who are outside of the country.


I am Soo-ae Han and I lived in North Korea and you probably wonder why I am here. I was working at a liaison office for South Korea for two years, then I started working at a North Korean overseas restaurant in Cambodia. Naturally, because I was working overseas, there were a lot of restrictions and directions and “you should do this”, “you should not do this”... but then I met this guy. I ended up loving this guy more than Kim Jong Un! I don't know how that happened. This is like the flower that bloomed without fear on the border. And I felt like I wouldn't be able to continue living without him. And a lot of people actually said that it was meant to be, that heaven actually arranged our love and our meetings. And if really there is a God, I don't know how we met. So basically, I met the South Korean guy when I was working overseas, and it was the first time I could die for love. So we just escaped, literally risking our lives. We actually held poison, we were holding poison in our hands thinking about if we're captured, we're going to eat this poison and die together. It's hard to describe. You wouldn't know because I experienced it.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are 35,000 people, they really risked their lives and there were people who ended up dying while escaping and looking for free freedom. And I lived in Pyongyang when I was in North Korea. There are people in the rural area in North Korea, the living conditions or so when I talked to them and heard their story, there was a really big difference. So let's think about it. Why would these people have to cross the river? Why did they have to cross the Tumen River, risking their life? I mean, think about if there was enough food, if there was freedom, if there was no threat to their lives, why would they cross the river? But I was North Korean, and I still have my parents living in North Korea, and the humanitarian aid is great. I mean, I like that idea of sending materials and food and aid to North Korea because my parents are still living there. But when I lived in North Korea, there were many aids coming into North Korea, like the UN cookies.


And I never received any humanitarian aid actually. There were the cookies that I received, the UN cookies. When I was a child, when I was in school, someone told me this is the cookie that our General Kim sent you so that you can behave and study harder. And I just thought that the UN cookies are the name of the cookie like the Lotte sandwich or the Choco pie or whatever. And there is, I saw the medicine is coming from the UN company and through the UN. So, there is medicine for TB. As you know, many people suffer from tuberculosis, and one of my siblings, younger siblings. The medicine actually worked so well, I can tell. This is really humanitarian aid, and that is sent from the UN to help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B. But the North Korean people actually have to pay for them. For example, my mother had to work so much and made money and then actually purchased the medicine. Whoever has these medicines, the price is what they say, like if they want to charge twice the price, they can sell one vial, they can sell two tablets, whatever they want. And even if you have money, sometimes the medicine is not available. So, you cannot buy it. So, the conclusion, my sister actually failed to permanently treat her condition. So, she has to just have this symptom for the rest of her life. She could have continued with the medication, but then she could not consistently take the medicine. She has TB permanently for the rest of her life. And when I think about that, I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even now, after this long, it makes me so angry.


Also, in South Korea, when you cook rice, you just use rice, and you rinse rice with water and you put it in a pot and then start cooking. This is like a dream story in North Korea, you have to pick out the shells of the rice and the tiny stones, you have to do that work all night long. My grandmother and grandfather were doing that. But now I know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ent tons of rice to North Korea, and the rice we received when we were in North Korea was so different from what I can have in South Korea. So where did that all go? I think the humanitarian aid actually when it ends up in North Korea, they just do a switcheroo. They just switch it out for the bad grade rice, not the pure rice. The rice we receive, it's not white, it’s very dark. So no matter how much South Korean aid comes into North Korea, it doesn't actually reach North Koreans.


So I can say, honestly, when was that? When was that? You gave us humanitarian aid? Because I haven't experienced it once when I was in North Korea, so I just don't know. I know the notion of it. But then I don't know what it is, from my own experience. Humanitarian aid is that it's helping people who are in need based on humanitarian needs, that's how I understand. But you have to make sure these humanitarian aids actually reaching the people in need, the North Korean people. Still now in North Korea, there are many people who blindly give their loyalty to the government. We have to change their minds, we have to open their minds, we have to let them know. And there is a saying that when the people of the country are stupid and ignorant, then the leader will do anything he wants, or she wants.


I thank you for listening to my story. I appreciate this opportunity to voice out my opinions. And so please continue to have your interest and please continue with your effort to help North Korean people. Thank you so much.


Pavel Klein

Thank you very much indeed for that very interesting presentation. Very sad presentation. So with that, we open the floor to questions. And I very much appreciate everybody staying on to answer questions.


Suzanne Scholte

Oh Pavel? I was just going to make a suggestion because we had asked that question to Kim Seong Min in the beginning, and then our friends got on, about what he's hearing from his informants inside North Korea about what's going on inside, what information? We don't know, do they have COVID? Do they have zero cases like the WHO lists? I'm just interested if Kim Seong Min could comment about what's the reality and what's going on? Are they going to have an Arduous March? Are we prepared for massive starvation?


Kim Seong Min

Already there have been 1800 Chinese tourists in North Korea and they already spread COVID, not just in Pyongyang, but all-over North Korea. So I think it spread very fast. They don't say that people died of COVID. They say acute pneumonia or acute fever. So a lot of people did die, but they don't say that it's COVID.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y ask all the dead to be burned.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provided gasoline to use to burn the dead. But now it has spread all over North Korea. And they said Pyongyang cannot reach Kim Il Sung where Kim Jong Un is. They said it's about life and death of the state. And then it began to die down a little bit for a while but afterwards, now this second and third wave is going through North Korea. That's our estimate. I think North Korea is hit throughout North Korea, the third wave of COVID. And they are trying their best to get some vaccines into North Korea. That's what I hear.


Pavel Klein

So what I'd like to do then is wait with the questions for a little while. We have had Mr. Lee Wi-ruk join us. And perhaps he can say a few words. One of the interests of Isabella Foundation is to see how the orphans are dealt with in the orphanages. What is the situation there? And I think that's a topic that Mr. Lee Wi-ruk may address. So if the interpreter wouldn't mind just alerting Mr. Lee Wi-ruk to speak, and if everybody else put their microphones on mute.


So, Mr. Lee left North Korea in 2010 where he had been an orphan from 1998, aged 11. He has gotten a bachelor's degree in criminal justice at Dongkuk University, then a masters in forensic science at Dongkuk University, and he's now a PhD candidate in North Korean affairs at Dongkuk University. He will talk to us about the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 orphanages and orphan rescues. So Mr. Lee Wi-ruk,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please tell us your experience.


Lee Wi-ruk

First of all, I will speak for about five to seven minutes. So I would like to speak about the reality of North Korean orphanages. So 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orphanage and the second of all the children, the orphans, from orphanage, how they go out and settle into the society. Thirdly, I'd like to speak about why we need to help them to escape. And first, I feel like I need to introduce myself. I was born in 1988. And actually, my father was a policeman and I was well off. But then my father was persecuted, and he ended up going to this concentration camp for political criminals. My mom went to China to make money. But then she was actually human trafficked. So she was sold. So we didn't have anyone to take care of us. One day, we ended up in an orphanage, and I was eight years old, and my sister was 10 years old. I settled into an orphanage and I lived there for seven years. Then I served in the combat unit of the military. While I was serving in the military, I had one purpose. I wanted to become a party member of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Because my family was all broken up, I had to rebuild my career by joining the party. But then I was working six days a week without getting paid for three and a half years. But I still could not become a member of the party because the reason was that I don't have a good background because my father was a political criminal. So it turned out I had no future in North Korea, no matter how hard I tried and made an effort. I just couldn't make it on my own. So I left North Korea in 2010. In August 2010, I came to South Korea and ever since I have been living in South Korea.


And I'd like to talk about how the normal orphanage was run in North Korea. So since I only have the firsthand experience about the orphanage that I was in, this is mostly about North Hamgyong province. There are three official orphanages, there was one in Kilju and Chungju. And the Kilju orphanage literally this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re was on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is a special orphanage for people who became an orphan because of their parents’ divorce. So ever since the Arduous March started, since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phanage have changed, because later on, they just put us all together, the regular orphans, the orphan has a one parent, we just all started living together. And, there was this one single woman who was actually running an orphanage, and she would receive benefits and aid from the government. She would send those orphans to the combat units in the military. There was also the collecting space, close to the train stations, initially they would collect captured orphans and put them in that post. Then later on, they were sent to an orphanage. It's just very inhumane. Let’s say Kim Il Sung or Kim Jong Un said let's capture all the orphans on January 1, they will put them into this facility called a protection facility. Then after that, about three months later, they would be sent to orphanages.


Second of all, how orphans actually go back into society. There's nothing special about it if they’re just regular people. Once they graduate, they either go to another school, like college, or go to the army or something. But then the orphans are different. So, this is called a group collection. So they will just move as a group wherever they can be fed. So my own experience, I experienced a similar thing. And as I said that even though I worked really hard, it was because of my bad unreputable background.


So let me talk about the orphanage again, and the human rights of the orphanage. Abuse, assault, I don't know what you think of this, but it's quite serious. You probably have received a lot of photos. The orphans, they are very short. So we're talking about 16, 17 years of age, but then they're only as tall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n South Korea.


So there are cases that children actually ended up dying because of the beatings. Even if the teacher killed the children from beating, they're not going to be punished because officially on the paper it will be reported that the children died of diseases or something else. Sometimes the orphans are in a fight themselves. Some people ask, well, how can they be in a fight that ends up in death. But this is survival, They learn violence from the teachers. Like, if you hit this other kid with a fist, you're still weak, but if you use the baton or a club, and then beat this kid up, that you're stronger. So basically, the cruel reality of it is that there are people there, there are kids, they were killed by the teacher by the beating. But then there are more orphans who ended up dying, because they were in a fight and ended up killing each other. It's a terrifying situation.


Third, they die of labor. They go farming and they go to the mountain to collect the wood. Personally, we liked going out to the field to work, to farm. Actually, we like that opportunity, because it's probably the only opportunity for us to go outside of the orphanage, outside of the fence. We work, it's private work for the teachers. When we go out to work for them, they actually have to prepare food. Personally, not from the orphanage, so we could taste the food outside of the orphanage. So we really liked it.


Lastly, I want to speak about freedom. And basically, in North Korea, there was no freedom. But if you understand that people in orphanages, the orphans, have even less freedom than other North Korean people. If you go outside of the fence of the designated orphanage, that's illegal itself, you cannot go outside of the orphanage. So for example, if an orphan wanders about on the street, and foreign people actually end up seeing an orphan on the street, that's a shameful thing for the leader, our leader. So the orphans cannot go outside of the fence. As I said before, when we had to go out for private work for our teachers, we were able to go outside of the fence and then we actually like that. There are many details I'd like to explain, but I can answer later if you have more questions.


And another thing is sexual abuse. Let's say a girl is just a 5th or 6th grader, but then if they have developed a little early, they will be sexually abused, they will be touched and they will be actually dragged to someplace else, private, in front of us while we're watching. So sometimes they get pregnant, but then the teacher, they don't want this to be reported. And so they had to go through forced abortions and they all think it's the girl's fault.


So let's talk about the diseases that North Korean orphans suffer, for example, like skin rash. So you know that all over my body and that other rashes, it's infectious. So the orphans, all of the orphans, well actually what this is horrifying situation. They would set up a campfire in the orphanage backyard and they put this chemical for disinfection. They made us gather together and covered us with blankets so that we can actually be disinfected by this fire. It was so hot and it was unbearable. It's almost like a torture for us. So that was the most horrendous experience that I can recall.


Also I want to talk about the basic living situation, the food, and sleeping. And so it's very dirty and there are many bed bugs and insects and... maybe someone is trying to eat breakfast somewhere, but then I just have to talk about this unsanitary situation. And this was a part of play for us. Let's say you capture this bedbug. Since this bedbug ate my blood, if you eat the bedbug, that means you get to eat your own blood. And just something like that actually happens and during winter, they don't really care. Like just the girls or boys we will be all gathered together and forcibly put into this like large bath space. During the winter, officially you can only take a bath once during the winter. So that's why in this horrifying situation, the kids end up eating the bedbugs. And during the winter, the government gives you just one pair of clothes.


Ms. Soo-ae Han actually mentioned UN aid and the orphanage actually received a lot of UN aid. Without the aid we will just die, the orphans will die. And let's say the UN aid supplies us with flour, but then I myself never ate the bread that was made by white flour. So the reason being is that the price of white flour is twice the price of corn. So they would actually receive this flour then they would go out to the marketplace and then sell them and buy corn instead and bring the corn into the orphanage and give it to us. So while I was living there for seven years, we were starving. Not even the corn, we have to eat the skin and the shell of rice. This is what happened. If the children eat this, because it's so rich in fiber, your stomach will be swollen, it's so big and it's so very painful and you could die. The teacher would say, this is bad for you, do not eat it anymore, but then the kids are hungry, so they will still eat it.


So I think I've already said it, but then it's very simple. We need to help them out of North Korea and basically the whole North Korea is the country of slaves. It's slavery. But the orphanage, the orphans within North Korea are even worse slaves. And North Korean people, you can farm, you can do trading, you can actually work and at least try to make your living. But orphans are like trash, they were dumped into this one place and neglected. They're not even allowed to work for themselves or try to make living for themselves. And so we have to help them, we have to rescue them. And the will to live, the will to survive, I think it's many times stronger than regular, normal North Korean people. And in China, I just interviewed one person, he was an orphan in China. And the girls would be sold somewhere else. But then he has to go through a series of hard work, like mining and other stuff. I did the interview in South Korea. Well, they actually, at least in the beginning, the orpha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even after they defected to South Korea, it was more difficult for them because even North Korean people have or try to have distance from these North Korean orphans who defected to South Korea. So I just want to emphasize that there is an ongoing need and a dire need to help them, to rescue them. So I think I shared this photo, how malnourished and short these orphans are. So thank you all for your attention and time.


Pavel Klein

Harrowing narrative and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 that with us. The floor is open to questions, but if I may, I'd like to start with a question myself. And the question is to Mr. Lee Wi-ruk and the question is this, is the situation in the orphanages now similar to what it was when he was there? Is it as bad now? That would be the first question. The second question that I would have is how can we help?


Lee Wi-ruk

I understood. Okay. First question is that? I will, I'll answer your first question. I can only gues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orphanages in North Korea. But there's a limitation about fact finding because it's been a while since I defected. But if I were to guess, I'm sure it's worse than before. The reason I think that way is this, Kim Jong Un is talking about the Arduous March or march of suffering and the orphans will be the worst victims of that march. Since Kim Jong Un's administration, they have promoted the orphanage, the socialists in North Korea, they promoted the North Korean orphanages, but I knew that it was a show. The problem of orphanages, cannot be taken care of in one orphanage. They just set up a showcase, but it does not affect the entire orphan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as for the rest of orphans in North Korea, right now. This is like a post valley, the farming town agricultural time there they are drawn to the hard labor of weeding on the barley field. So we didn't have a proper tool. We had to use stones, because there were maybe 200 orphans but they only have 30 tools. So the younger children have to use a sharp stone. And we lined up and we had to be presentable. So we actually sang and marched. But that's just to hide the suffering. So what I guess is the current situation, at least it will be as bad as it was before or worse. Because under Kim Jong Un's regime, they are talking about this march of suffering and I believe that orphans will suffer worse in that situation.


Now, how we can help is this. I think direct aid to orphanages will have the most impact. And when I was an orphan, I saw a foreigner two times. One time they took the most malnourished children and took pictures and another time they took the most well-fed orphans and took pictures. So one was most malnourished and the other was when they were well fed. So I think they took those pictures so that they could see the before and after of the foreign aid, they wanted to show them. So before the aid they take on malnourished children, that doesn't mean that the situation of the orphans will improve. Actually when you increase food intake suddenly, actually more children die. More children die. Because they don't take any fat content. Because they eat corn grain powder, if they are given ramen, or some sort of a fat content, they suffer diarrhea and many of them die. So, under that situation, the foreigner has to directly go to the orphan, they have to do the fact finding, and they have to be directly involved with the aid. There are many aids from South Korea, or from the United Nations, none of those materials, aid can get to the orphans. So you have to firsthand go to the orphans and do some fact finding and actually give them the material. And in whatever you do, you'd have to be more informed, more close monitoring, and provide aid. Thank you.


Pavel Klein

We are running out of time, and because of logistical difficulties that we had, we won't be able to cover questions that we had hoped to cover, we will not be able to ask you all the questions that we had hoped to ask you.


So I'd like to apologize to the audience that we didn't get around to your questions. But unfortunately, we have had significant logistical difficulties. So as a sort of final wrap up, I'd like to ask Suzanne to sort of bring the meeting to a close. And I'd like to thank all the speakers for taking part under such pressure, I know that this came to you in an unexpected way. So I really appreciate your being able to, to do this at such short notice of change, and share your insights and experience with us. And we hope to be able to follow up on this. The purpose of the Freedom Week is not just to talk, but for the talk to lead to action, as Suzanne's motto is “Acta Non Verba”. And we hope to follow up with you after the week. So Suzanne.


Suzanne Scholte

Thank you so much, Dr. Pavel Klein, and the Isabella Foundation and our wonderful guests. And I do want to thank the audience for hanging with us. We've had to endure many challenges. I have a feeling there was something else going on with some of the technical problems we've had. And we will hear it from Jason, but we probably had some cyber-attacks going on. But I thought the witnesses were outstanding. And we certainly can make a video of this and cut out some of the times where we had lags because there was so much really valuable information that was shared.


So I do want to thank everybody for hanging with us and participating, and especially Isabella Foundation for covering the topic, Open Borders. There's such a wealth of areas about that particular topic and we probably gave you the heaviest number of topics to cover. But it is important. I think it's very valuable to know about the fear they have and we have about the misuse of humanitarian aid, we always want to send humanitarian aid, but we want it monitored to the point of consumption, to ensure it reaches the intended recipients, I think we certainly had that underscored with our witnesses tonight with how it was misused in the past because it wasn't properly monitored. They didn't allow it to be properly monitored. So thank you again to everybody for being here.


Suzanne Scholte

And Appogee, Jayu Bukhan! Apogee, Jayu Bukhan! Father, Free North Korea!


Kim Seong Min

Thank you, Suzanne. Thank you, Pavel. Thank you so much for the participants. Thank you very much. Thank you. Our thanks to you, our gratitude and appreciation. Thank you so much.

한국어 녹취록

파벨 클라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 행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밤 시작이 오래 지연된 점 사과드립니다.

이것은 북한자유연맹 주의 일부로서 한 주간 일어나고있는 많은 프로그램들 중 하나입니다.

또한 수쟌 쏠티와 함께 북한자유연맹에 의해 주체된 일년에 한번하는 행사입니다.

미국과 한국이 거의 20년동안 진행해왔으며 한국측에서는 김성민 대표가 앞장서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북한을 열자”라는, 말 그대로, 가슴을 열고, 마음을 열고 또 국경을 열다라는 주제로 진행되고있으며 여러 단체와 여러분들이 이메일과 웹 사이트를 통해서 많은 흥미로운 프로그램과 정보를 보고 이메일을 보내시면 접속이 가능할것입니다.


제가 좀 늦게 시작한것에대해 큰 사과의 말씀드립니다. 아시다시피, 우리 사이에는 12시간의 차이로 인해 약간의 시간적 오류가 있었습니다.

오늘 연설하실 탈북자들은 한국에 있어 시간에대한 소통에 조금 오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지금 탈북 연설자들이 없습니다.


지금 어떻게 대처 해야 될까 지금 조금 고민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인내에 매우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저들을 대신하여 지금 여기 행사에 주체자가 말씀해 주시고요.

그리고 또 한국대표 주체측의 말씀 후에는 일반적 토론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 오늘 저녁 행사의 주체는

이사벨라 파운데이션이 후원하고 있는데요. 저희 단체는

북한에 있는 고아들을 돕는 임무를 가진 자선단체 입니다.

특히 북한 내에서, 또 중국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그들을 구해내고, 중국에서 그들을 돕습니다.


중국에서 탈출하는것을 돕는것이 원래 임무였는데 그 임무가 확장되어 지난 2년동안 중국으로 밀매된 북한 여성들을 돕기위해 노력했습니다.


여러분께서 모두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큰 문제는 북한여성들은 돈을 벌기 위해 중국으로 갑니다.북한의 식량부족으로인해 가족의 음식을 얻기위해서이죠.

중국에 가서 순진하게 일자리를 찾고,북한으로 돈을 보내기 위함이지만, 혹은, 국경를 넘어 끌려가 인신매매되어 노예로 팔려 성관계뿐만 아니라 노예로 팔려 생활하는 탈국민을 돕고 도움을 받을수 없는 사람들을 돕습니다.


이제 오늘 밤 첫번째 계획하지 않았던 연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수잔 솔티 입니다 수잔은 제가 가까이에서 지인으로 알게된 대단한 여성입니다.


저는 알고지낸 15년동안 북한이 누구에게도 관심을 가지기 훨씬 전에 그녀는 그 곤경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하나의 큰 강제 수용소인 나라의 고난, 나라와 국민을 돕기위한 노력을 혼자서 시작했습니다.그녀는 원자력 발전소 이상의 경이로운 에너지를 가로질러 북한인권을 다루었습니다.그녀의 인권에 관한 관심은 세계 여러곳에서 다양하며 활동 범위가 정말 놀랍습니다.북한의 고통속에, 중국은 미국에서 통과된 의회의 행동들과 모든 것에 탈출하려고 노력했습니다..그녀는 아마도 북한 인권에 가장 적극적인 사람일 것입니다. 그녀가 3년 마다 받는 서울평화상을 수상자가된것과 많은 단체에서 그분의 노력을 인정하고 여러 수상을 받았습니다.

그녀 이전의 수상자들은 바츨라프 하벨과 조지였습니다. 체코의 슐츠와 미국 국무장관입니다.


그래서 저는 수잔을 이 자리에 모시고 이야기를 나누게되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그녀는 코로나19 당시에도 그랬거니와 북한의 상황을 주시하고있다고 합니다.

가혹하게 싸웠던 코로나19의결과 라는 측면에서 건강진단의 결과는 얼마나 나쁜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경제, 즉 경제에 대한 2차적인 결과들을 알고있습니다. 복지와 국가의 치안유지 활동은 매우 심각합니다. 수잔 정말 고마워요. 무대는 당신것입니다.


수잔 숄티


감사합니다 클라인 박사님 정말 고맙습니다. 그 후한 소개와 함께, 이사벨라 재단이 이 세션을 후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18회 북한 자유에 대한 주제로 북한 개방 주간입니다. 그리고 이번 주 초에 AEI와 함께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바로 오늘 저녁, 오늘 오후,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열었습니다. 마음을 열고 생각을 열고 국경을 연다는 그런 주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북한의 국경 개방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저는 이 유행병이 우리가 가상으로 발전해야 했던 이유중 하나였다고 말하며 시작하려고 합니다. 지난 일년, 북한 자유 주간은 모두 가상이었습니다, 그리고 행사들은 그것들의 의미에 고립되었고 우리가 지금하는것처럼 대화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올해 독특한 점은 자유의 주간에 매우 유명하고 높은 사람들과 함께 탈북자들을 참석시키는 것입니다. 여기 이사벨 같은 재단 연구소가 미국에 있어 저는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우선 대유행 때문에 북한의 상황이 실지로 얼마나 나쁜지 우리가 모르는 상황이 생겼다고 말하고 싶습니다.이것이 왜 국경을 개방하고 북한을 개방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 입니다. 너무 중요하죠. 저는 북한 주민이 말하는 것과 북한에 대해 말하는 것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COVID에 대해 우리가 알고있는 사실은 무엇입니까? 무엇보다도 북한은 COVID 사례는 없고 세계최고의 의료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대유행에 대한 대응책이 최고였다고 주장합니다. 심지어 한국 정부에서 제안한 백신 접종의 도움도 김정은의 동생 김여정이 필요 없다고 거절했습니다.이것이 북한이 주장하는 바입니다.하지만 우리는 이런 주장을 하고 있죠.

지금 북한에서 무엇이 사실인지,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 아무 정보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보의 개방과 계속 보유하는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WHO, 세계 보건 기구 웹사이트에 접속하시면 국가별 건 수를 조회하실 수있는데 북한의 정보에 따르면 확진된 COVID 사례도 사망자도 없다고 합니다. 북한이 최근에 한 모든 COVID 실험이 음성으로 나왔다고 합니다.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사실이 무엇일까요? 자, 여기서 우리는 북한이 최초로 폐쇄된 나라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2020년 1월 22일에 국경을 폐쇄했습니다. 그들은 문을 닫은 첫번째 나라였습니다. 왜냐하면, 가까운 중국과의 국경에서 실제로 심각한 전염병이 발생했다고 예상합니다. 북한에서 코로나균이 발생했고 우리가 들은 소문들 중 일부는 사람들이 코로나 균이 있는곳에 갇혀 있었다고 합니다.

지난 해 동안 229명의 북한 사람들이 탈출 할 수 있었다는 것은 지난 몇 년 동안 극적으로 감소한 것입니다.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우리는 사살명령을 내렸다는 사실도 알고 있습니다. 북한은 COVID를 두려워하고 그리고 그들은 질서를 파괴하고 총을 쏘고 국경을 폐쇄했습니다. 그들은 중국 시민들에게 북한 국경에서 떨어져 있으라고 경고했습니다.흥미로운 점은, 저희가 알고있는 몇가지 사실을 말씀드리자면, 제 8차 조선 노동당의회 모임 때 이었는데 한 사람도 마스크를 쓴 사람 없다는 것을 알아 차렸습니다. 따라서 COVID가 평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 가능합니다. 조선 노동당 사진을 미루어 볼 때 우리는 코로나 감염자가 발생했지만 그 지역들을 극적인 폐쇄를 함으로써 평양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었다는 의심을 품게합니다. 이 모든 것이 북한에서 드나드는 정보가 매우 중요한 이유입니다. 제가 우리와 합류하기를 바라는 증인들 중 일부는 실제 북한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이 김정은이 살아왔다는 또 다른 사실이라고 믿습니다. 또한 다른 고난의 행군이 있을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이것은 굶어 죽을지도 모르는 수백 만 명의 사람들이 있을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저는 어느 때 보다도 북한의 국경 개방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내는것이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예를들어, 한국정부는 멈출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왔습니다. 북한 사람들이 굶주리고 있는 정보와 중국에 입국한 탈북자들이 구금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그들을 안전하게 다시 정착시킬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이것을 우리가 대한민국 정부에게 요청해온 것입니다.


파벨씨도 아시다시피, 많은 어린이들, 고아들이 기아입니다. 과거에 이사벨라 재단이 인신매매 여성들을 돕는 일에 많이 관여하고 고아들을 보호하려고 노력했던 것을 알고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에게 아주 적절한 상황이 닥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과거에 일어난 일처럼 부모를 잃은 많은 아이들이 고난의 행군 동안 기아에 허덕였을 때 나쁜 일이 일어 났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하려는 일 중 하나는 전화를 거는 것입니다.미국 정부를 포함하여 의회가 지지해 온 인도 주의 단체들이 인도 주의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워프 속도 작전 때문에 많은 COVID 백신을 보유하게 될 것입니다. 북한 주민들을 돕기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설적인 것들을 제안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북한 주민들에게 국제 사회가 정말로 그들을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탈북자들 인터뷰 중 나온 것들 중 하나는 미국 정부가 만약 공화당이 장악한다면 핵으로 북한을 파괴하기를 원할것이고, 만약 민주당이 장악한다면 북한을 굶기고 싶어 할거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그 모든것은 완전히 거짓말입니다. 미국 의회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해 완전히 단결해 왔고 정권을 제재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경제 제재는 직접적이고 정권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고 실지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의회가 매우 조심스럽게 제재 조치를 취해서 북한 주민들은그 제재에 영향을 미치지 안을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은 미국인과 미국 의회가 그들을 얼마나 깊이 배려하고 있는지 진실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한국 정부가 김씨 정권의 요청하는 것을 하고, 들어가서 직접 입찰을 하며 정보의 흐름을 막고있는 정말 위험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이사벨라 화운데이션과 같은 조직에서는 발생에 대한 인식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중국에 있는 난민들을 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고아들을 보호하고 인신매매된 여성들을 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단지 그 상황에 대해서 말하고 싶었고, 지금 김성민씨가 오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서 많은 사람들이 탈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저는 김성민씨가 직접 연락해서 계속 정보를 빼내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김성민씨에게 북한의 현 상황에 대해 들은 이야기를 좀 들려 달라고 부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VID는 없나요? 별일 없으세요? 그들은 또 다른 고난의행군을 준비하고 있나요? 북한 사람들 한테서 들은 이야기는 무엇이 있습니까? 현재 북한의 상황에 대한 생각들을 김성민씨께서 공유해 주시겠어요.



파밸 클라인


혹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김성민씨는 북한으로부터 꽤 오래 전에 극적인 망명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북한에 대해 들어오고 나가는 정보를 활발하게 퍼뜨리고 있습니다. 김성민씨 책임하에서 탈북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북한 자유 방송은 정보 수집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방송으로 북한에서 매우 인기가 있고 북한 주민들이 열심히 듣고 있다고 합니다. 다른곳에서 보도되지 않는 정보를 서방에서도 정보를 얻는다고 합니다. 김성민씨, 감사합니다.



수잔 숄티


김희연씨도 저희와 함께 하셨고, 아마 김성민씨가 가지고 있는 어떤 정보를 얘기 하실것 같네요. 김희연씨 한테 갈 수도 있습니다.



파벨 클라인


자, 그러면 두 분의 연사가 함께했습니다. 저희와 함께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희와 함께 하는데 좀 어려운 일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희와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희연씨 만나서 반가워요. 이사벨라 재단에 파벨 클라인입니다. 오늘, 미국시간 밤 시간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준비됐나요?


김희연씨를 소개합니다. 김희연씨는 2014년에 북한을 떠났습니다.그녀는 북한 지역 선전부 화가로서 온송에서 일했습니다. 현재 경희 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하고 있고 국제 탈북 여성 협회 회장으로서 우리에게 북한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 협력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김희연씨를 모시게 된 것에 대해 매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김희연 씨가 시작하기전에 아마 말씀을 안 하시는 분들은 마이크를 음소거로 해 주세요. 한국어로 통역 부탁 드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김희연씨, 시작해도 돼요, 감사합니다.



김희연


제 이름은 김희연입니다. 저는 북한의 활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하고 싶습니다. 북한 여성 인권에 대해 말 할 수있는 기회를 주신 클라인 박사와 숄티 박사께 무엇보다도 감사를 표합니다.


저는 2019년 한국에서 기아로 사망한 한성옥씨에 대해 언급하고 싶습니다. 북한 여성의 권리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한국의 소외된 집단과 여성들에게도 관심이 집중 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우리는 활동의 범위를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북한만을 위한 활동이 아니라 현재 상황은 정말 끔직하고 우리는 자금과 원조가 부족합니다.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저희를 향해 죽음의 땅을 떠나 전기도 식량도 있다고 하지만 북한 여성의 현실은 이렇습니다. 한국으로 망명했으나 여전히 어둠과 고통 속에 있는 많은 북한 사람들이 이 곳에 온 것을 후회할 정도죠. 우리가 왜 왔지? 한국에 와서 왜 우리는 굶어야 하지?라고요.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을 포기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일은 단지 한 사람이 할 수있는 일이 아니라 탈북자들이 새로운 나라에서 정착할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것이 우리의 애원과 소망입니다.


이 정부에따르면, 한국 정부 정책은 그 들이 다른 유형의 소외된 사람들을 돕는 정책을 위임해야 한다는데 북한 탈북자들에게는 어떤 특정 또는 특수 지원이 없습니다. 우리를 돕기위해 고안된 정책이 실제로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우리가 피부에서 느끼는 원조는 거의 없고,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탈북자는 굶어 죽었습니다. 탈북자나 피난민은 대한민국의 구민으로서 정의로운 시민으로 살고 있으며 동일한 정책과 혜택 및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한국에 있는 탈북자들, 미혼모인 여성들이 기본적인 자유를 누리며 거리로 나가 길을 걸을 수 있고 먹을 음식이 있다고 해서 그것이 전부는 아니고 그 들이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의미하지 않습니다. 탈북한 사람들은 가족과 친구들을 떠나 새로운 나라에서 도움이 있다해도 외롭다는 것을 기억해 주십시오. 엄마 한성옥씨와 아들의 기아에 대해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많은 한국으로 망명한 탈북자들에게는 이것은 매우 낙담하고 절망적이였습니다. 그들이 최소한의 생활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여성을 돕기 위해 일하고 있는 단체의 책임자로서 필요한 많은 도움이 한국 정부 또한 국외로 부터 와야합니다.


북한, 우리는 거기서 자랐고 모든것을 포기하고 새 나라에서 더 잘 살기위해 탈출한 나라입니다. 현실은 그것과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저는 파벨 클라인씨께 현재 한국에 계심으로 간청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 정부는 단지 탈북자들, 특히 탈북 여성들에게 이용 가능한 모든 원조와 기금 혜택을 끊었습니다. 많은 다양한 유형의 탈북자들이 있습니다. 탈북자 집단 내에서 소외된 집단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찾아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말을 잘 못하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두서 없이 준비 부족으로 생각나는대로 했으나, 다시한번 진심으로 새로운 정책들과 도움의 원조는 탈북자 내의 이 소외된 집단을 위해 이용될 것입니다.

제발 저희를 도와 주세요. 우리에게 관심을 멈추지 마시길 바랍니다.정말 감사해요.


파벨 클라인


김희연씨 발표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애란박사님 발표 준비 되셨는지 묻고 싶습니다. 이애란 박사는 1999년에 북한을 떠났습니다. 그녀는 이화여자 대학원에서 식품영양학 박사를 취득하고 통일 문화 무료 센터 소장입니다. 한국에서 열린 국제 음식 대회에서 우승, 힐러리 클린턴 장관으로부터 위험한 일에 특별히 관여한 여성에게 주어지는 용기상 수상자입니다. 이애란 박사는 인권, 여성인권,그리고 북한의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저희와 함께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희가 영어로 말하는 동안 무대는 당신께 넘어 갑니다.




이애란 박사


안녕하세요, 여러분. 네, 제가 여기 있는데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통하는데 문제가 있었음을 사과드립니다. 저는 1999년에 탈북했고 다른 탈북자들 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수 있었습니다. 인권 현실에 대해 조금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중국에서 북한 여성 인신매매로 인한 인신 매매 피해자의 실상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그들은 심지어 중국에 있는 북한 여성들을 돼지라고 불렀습니다. 놀라운 현실입니다.탈북자들의 80% 는 여성입니다.그들 중 많은 수가 중국에서 인신매매의 희생자입니다. 그들은 남한으로 와서 정착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가들 아무도 이 곤경에 빠진 자 들에게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많은 탈북 여성은 성 폭력과 노예 같은 노동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 와서 다시 희생을 당합니다.모자가 굶어 죽은 한성옥사건이 증명하는거지요. 많은 사람들이 왜 그랬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왜 도움을 청하지 않았는지? 왜 일하지 않았는지? 그녀는 인신매매 피해자였습니다.그녀는 간신히 남한으로 탈출하여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엄마로서 중국에 두고 온 아이를 보기를 갈망하며 중국으로 돌아가 결국 그남자를 다시 만나게 되었고 그 남자와 한국으로 같이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두번째 아이를 임신 한 동안 신체적 학대, 폭력으로 외상 때문에 아이가 발작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엄마는 시시 때때로 발작장애를 일으키는 아이를 돌봐야 했고 일을 할 수 없었습니다. 남자는 기능 장애가 있었습니다. 전화요금 내지 못해 전화가 끊기고 그녀는 고독한 섬에 놓인 것처럼 되었습니다. 결국 그녀의 아이와 함께 굶어 죽었습니다.

북한, 중국, 한국 이 세 나라에서 있는 북한 여성들은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35,000 명의 탈북자 중 80%가 여성입니다. 이것은 여성의 인권 침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북한의 경험으로 비추어 볼때, 그들이 처해있는 가정 생활의 탈출하는 동안 많은 위험과 험한 여정과 고통을 겪습니다. 아이가 울을까바 걱정하고 기저귀와 많은 다른 필요에 대해 걱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35,000 명의 탈북자 중 80%가 여성이라는 것은 북한에서 고통받는 주민 주에 남성보다 여성의 인권이 더 취악함을 반증합니다.


그들이 한국에 왔을 때, 삶 자체보다 자유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북한 자유 연맹 주의 18번째 해라는것을 알고 있는데 이 행사가 반드시 언젠가 평양에서 개최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북한 주민들에게 가장 필요한것은 식량이 아니라 자유입니다. 그들은 무식하지도 바보도 아닙니다. 자유를 갈망하고 간구합니다. 싸우고 싶어 합니다. 자신들의 힘으로 자유를 위해 투쟁하고 싶어합니다. 그들은 지혜와 지식을 가지고 성취하고 싶어합니다.그들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북한을 가장 번영하는 나라들 중 하나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미국이 민주주의와 자유의 벤치 마크와 같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여러분께 감사드리고 여러분들께서 한반도의 자유를 위해 일하려는 노력에 대해 계속해서 격려합니다. 저는 최초의 한국 정부의 출현에 대해서 들었습니다. 외국에 있는 많은 한국 동포 애국자들, 이승만 대통령이 자유 민주주의를 본 받은 미국과 같은 정부를 본 받았다고 합니다. 35,000 명의 한국 탈북자들은 세계 시민들을 모아 북한 정권을 무너뜨릴수 있도록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북한에게 자유를 선물로 주고 싶습니다. 북한에서 헌법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자유 정부를 수립할 수 있기 원합니다. 저는 이 일을 위해 계속해서 제 인생을 바치고 싶습니다.


이제 저는 북한 자유 연맹의 의장이 되었습니다. 한국 정부가 대북 전단 금지법을 통과 시킨 것은 유감입니다. 박상학씨가 지금 실종됐어요.이번주 중, 저는 한국 문 정부 에게 정보가 북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면 이렇게 제안하고 싶습니다. 우리와 같은것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나라의 북한 대사관 건물에 전단을 뿌리는 것과 같은 의식입니다. 스페인에서 해 봤어요. 심지어 뉴욕에도 북한 대사관 이 있다고 것을 알고 있고 전단을 뿌리고 싶습니다. 만약 북한 대사관 들이 이 모든 나라에서 전단지들로 폭격을 당한다면 아마도 북한은 이 법을 해제하도록 남한을 압박할 것입니다.


북한 주민들은 사회를 개혁하고 싶어하지만 그들은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탈북자들이 그들의 희망과 자유를 위한 탄원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로드맵응 수립하는것, 더 구체적이고, 더 많은 방향과 궤적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북한을 위한 헌법 초안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개인의 자유, 권리를 증진시키고 싶습니다. 개인 재산권과 선거권을 소유하는 핵심 가치들 중 일부와 북한을 위한 새로운 헌법이 될것입니다. 저는 이것이 북한에 있는 내 주민들을 위해 내가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최고의 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잔씨와 이사벨라 제단의 파벨 클라인씨께 감사드리고 자유 운동하는 동료 여러분들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이런 자유 운동이 백악관이나 미국 의회 앞에서 많이 일어 났으면 좋겠습니다. 직접 만날 수 없어 아쉽지만 이번 온 라인 이벤트에 감사 드립니다. 직접 만나 뵐 시간을 기다리겠습니다. 저는 우리 모두 계속해서 일 하기를 격려합니다. 특히 수잔 숄피와 파벨 크라인 박사님께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북한을 위한 자유입니다! 북한의 민주화입니다!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합시다.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박사님을 뵙게되어 감사합니다 수잔 숄티!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 우리를 조직해 준 김성민씨에게 감사합니다.


파벨 클라인


감사해요. 제가 한수애씨를 소개하자면, 2016년에 북한을 떠났습니다.평양에있는 학교 졸업 후 2 년 동안 한국 연락 사무소에서 일했고 캄보디아에 있는 북한 해외 식당에서 일했습니다.현재 서울 추계 예술 대학에 재학 중. “이만갑” 탈북자들이 출연하는 호스트 쇼에 패널로 일 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국제적인 인도적 지원의 도전에 대해서 말 할것입니다. 한수애씨, 정말 감사합니다.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한수애


정말 감사해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제 이름은 한수애입니다. 저는 평양 해외 식당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이행사의 모든 이해 관계자와 주체자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저는 의미있는 이 행사의 미팅이나 세션에 참여하는 것이 처음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다른 탈북자들과 국외 주체 단체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때문에 조금 긴장 됩니다.


저는 북한에서 살았던 김수애라고 하는데 왜 제가 여기 왔는 궁금 하실 거예요.저는 2년 동안 한국 연락 사무소에서 일했었고 그 후, 캄보디아에 있는 북한 해외 식당에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히 해외 근무를 하다보니 제약과 지시사항이 많았습니다. “이렇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는 안된다”등, 하지만 그때 한 남자를 만나 그남자를 김정은이 보다 더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 났는지 모르겠어요. 국경 경계선에서 두려움 없이 피어난 꽃과 같습니다. 저는 그 남자 없이는 살 수 없을것 같았습니다. 사람들은 하늘이 우리의 사랑과 만남을 맺어준 인연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말 하나님이 아니었다면 우리가 어떻게 만나게 되었을까요. 해외에서 일하면서 처음으로 사랑을 위해 죽을 수 있었던 것은 처음이었어요. 목숨의 위험을 무릅쓰고 탈출했습니다. 우리는 실제로 독약을 손에 쥐고 포획되면 이 독약을 먹고 함께 죽자고 했습니다. 이것은 경험하지 않고는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3만 5천명의 탈북자들은 정말 목숨걸고 자유를 찾아 왔고 탈출하다가 결국 주게된 사람들도 있습니다.저는 북한에서 평양에서 살았습니다. 북한 시골에서 사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말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것에 대해 생각해 보죠. 왜 이들은 강을 건너야만 했을까요? 왜 위험을 무릅쓰고 두만강을 건너야 했을까요? 음식이 충분했다면, 자유가 있었다면, 위협이 없었다면 왜 그들이 강을 건널까요? 저는 북한 사람이었고 지금도 부모님이 살고 계십니다. 북한에는 인도주의적 지원이 대단합니다. 저는 저의 부모님이 여전히 북한에 살고 있기 때문에 재료나 음식이나 원조를 한다는 생각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제가 북한에 살았을 때 UN쿠키와 같은 많은 원조가 북한에 들어오고 북한에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저는 실지로 인도주의적 원조를 받은 적이 없어요. 제가 어렸을 때 학교 다닐 때 누군가가 이 쿠키는 장군님이 쓰시는 쿠키이고 열심히 행동하고 공부하라고 보냈다고요. 저는 UN쿠키가 롯데 샌드위치나 초코파이 같은 쿠키의 이름인줄 알았어요.약은 UN 회사와 UN을 통해 공급되고 있습니다. 결핵에 대한 약이 있습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제 동생같은 많은 사람들이 결핵을 앓고 있습니다. 이 약은 UN 인도주의적 원조로 결핵 환자들을 위한 효력이 좋은 약이었습니다. 하지만 북한 사람들은 사실상 돈을 지불하고 구입해야합니다. 예를들어 저의 어머니는 일을 열심히해서 돈을 벌어 그 약을 구입했습니다. 누가 그 약을 가지고 있던지 간에 가격은 그들이 말하는 가격입니다. 만약 그들이 두배의 가격을 청구하기를 원하는대로 한개의 병을 팔수도 있고 두개의 알약을 팔수도 있습니다. 그나마 돈이 있어도 약을 구입하지 못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할수가 없습니다. 제 여동생이 영구적으로 치료하지 못했습니다. 약은 복용했으나 꾸준히 복용하지 못하여 평생 결핵을 앓고 있습니다. 오랜세월이 지났지만 지금도 자다가도 한밤 중에 깨어서 저를 화나게합니다.


한국에서는 밥을 지을 때 그냥 쌀을 물로 쌀을 헹궈서 냄비에 넣고 밥을 합니다. 이것은 북한에서 꿈 같은 얘기입니다. 저희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밤새 껍데기와 작은 돌맹이를 골라 내야 합니다. 북한에 있을 때 받은 쌀은 남한에서 먹은 쌀과 너무도 다릅니다. 한국에서 인도적 지원으로 많은 쌀을 보낸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 쌀이 다 어디로 갔죠? 북한에서 순 쌀이 불량 쌀로 바뀐 것입니다. 쌀이 흰색이 아니라 검은색으로요. 남한이 북한에 얼마나 많은 지원을 받던간에 실제로 주민들에게는 닿지 않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인도주의적 도움을 주셨다고요? 그게 언제였죠? 왜냐하면 제가 북한에 있을 때 한번도 도움을 받은 경험이 없어서 몰라요. 사람들을 돕는다는 인도주의적 지원의 개념은 압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것 처럼 인도주의적 필요성에 기반하여 북한 주민들에게 지원되지 않는다는 거지요. 아직도 북한에서는 북한 정부에 맹목적으로 충성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어야고, 생각을 개방시켜야합니다. 속담에, 백성이 어리석고 무지하면 지도자는 그가 원하는 무엇이든 할것이라고요.


제 이야기를 들어 주시고 제 의견을 말할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북한 사람들을 돕기 위한 노력과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파벨 클라인


매우 흥미로운 발표를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매우 슬프네요.그러면, 질문의 장을 열려고 합니다. 모든 분들이 질문에 답해줘서 매우 감사합니다.


수잔 숄티


파벨? 저희가 시작할때 김성민씨께서 북한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보원들로부터 들은 정보가있는지 질문을 해서 제안 했는데, 친구들이 하게 되어서..

어떤 정보가 있나요? COVID 를 가지고 있나요? WHO 목록처럼 케이스가 0개 인가요? 김성민씨가 코멘트해 주실수 있는지 궁굼합니다. 무엇이 현실이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고난의 행군은 할것인지? 엄청난 기아에 준비가 되어 있는지?


김성민


이미 북한에는 1800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있었고 그들은 평양 뿐만 아니라 북한 전역으로 빠르게 퍼진것 같아요. 그들은 COVID로 사망 했다고 하지 않고 급성 페렴아라던가 급성 발열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북한 정부에서 가솔린을 제공하여 사망자를 불 태워 달라고 요청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북한 전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그들은 김정은이 있는 김일성에게 접근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국가가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이고 조금 줄어드나 싶더니 이차 삼차의 물결이 북한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추정하기로는, 북한이 계속 제 3 의 파동으로 타격을 받는것 같고 북한에 백신을 들여오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파벨 클라인


그러면, 질문은 잠시 기다렸다 하고 이위룩씨를 모시겠습니다. 아마 몇마디 하실 수 있을거예요. 이사벨라 재단의 관심사중 하나는 고아원에서 고아들이 어떻게 다루어지는가 입니다. 그곳의 상황이 어떤지요? 이런것들이 이위럿씨가 다룰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위럭씨가 발표할때 통역사는 다른 참가자들이 마이크를 음소거를 올려 놓도록 주의 시켜 주십시요.


미스터 리는 1998년 부터 11살에 고아가 되어 북한을 2010년에 떠났습니다.동국대학교 형사 사법학과 학사 및 동국 대학원 법 의학 석사 39학번, 동국대학교 에서 북한 문제 박사 후보로 재직 중입니다.북한 고아원과 고아원 구조 상황에 대해 이야기 할 것입니다. 이위룩씨 함께해 주셔서 정말 감사 드리고, 경험담을 말씀해 주세요.


이위럭


우선 5분 에서 7분 정도 말씀 드리겠습니다. 북한 고아원 의 실체와 구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북한 고아원의 구성이고, 둘째, 고아원에서 온 모든 아이들이 사회에 나가서 어떻게 정착할때 문제와 인권, 셋째, 우리가 왜 그들을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제 소개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1988년에 함경북도 김책시 신평동에서 1남 1녀로 태어났고, 저의 아버지는 경찰이었고 저는 유복한 집안에서 살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저의 아버지는 핍박을 받았고 결국 정치범으로 강제 수용소로 가게 되었습니다.아버지는 엄마는 중국으로 돈을 벌러 가도록 중국 브로커를 통해 보냈지만 인신매매로 팔려가게 되었습니다.그런 이유는 누나와 제가 아버지와 강제 수용소로 가는것을 막기위해서 엄마라는 보호자를 없애기 위해서 중국으로 넘기게 되었습니다. 우릴 돌봐줄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어느날 우리는 고아원으로 가게 되었고 그때 내 나이는 8살, 누나는 10살이었어요. 저는 고아원에 정착하여 7년 동안 살았습니다. 그 후 저는 졸업 후 828 청년 돌격대, 백경오 돌격대, 오랑촌 돌격대에서 복무하게 되었고 제가 군복무를 하는 동안 저의 목적은 북한 노동당 당원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모두 헤어졌기 때문에 당원이 되어 다시 경력을 쌓아 다시 가족을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당원이 되기 위하여 하루 12시간,일주일에 6일, 3년 반동안 정부를 위해 무보수로 일 했으나 아버지가 청치범인 배경으로는 연자죄로 인해 당원이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제가 아무리 노력하고 노력해도 저의 혼자만의 힘으로는 미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탈북하기로 결정한 후, 2010년 2월 17일에 두만강 넘다가 체포되어 보위 부에서 3개월 반 정도 고문을 받고 그후 다시 도 보위부로 후송되던 중 2010년 6월에 탈출성공, 2010년 8월에 한국 입국한 이후로 쭉 한국에서 살고 있습니다.


저는 북한에서 고아원이 어떻게 공식운영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제가 북한 고아원에 대해 연구한 적이 없기 때문에 저는 제가 있던 함경북도 고아원에 관한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공식적인 3개의 고아원이 있는데, 길주와 충주와 종성이 있었습니다. 말 그대로 길주는 초등학교이고 충주는 중학교 1에서 6학년까지였습니다. 종성은 부모의 이혼으로 고아가 된 사람들을 위한 고아원, 이부모라고 하는 고아원 이었습니다.. 고난의 행군이 시작된 후 부터 고아원의 특성이 바뀌었습니다. 보통의 양부모 고아들, 이부모 고아들이 , 우리 모두 함께 살게 되었습니다.실지 고아원을 운영하던 사람이 이 고아원을 운영하면서 정부로부터 혜택과 원조를 받았습니다. 다른 공식 또는 비 공식으로 분리되는 곳은, 선전 선동으로 인한, 22명의 처녀 어머니라고 해서 이들이 나은 고아들이 많이 생겨 나라에서 혜택을 받고 키워서 군대나 군대 돌격대 같은 곳, 즉 사회로 진출 시키는곳이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큰 규모 작은 규모로 나뉜다고 볼수 있습니다. 또한, 비 공식적으로 운영되는 시, 군, 도 단위로 나뉘어 역전 옆에 구호소에서 학원이나 고아원으로 보내집니다. 또, 상무들 이라는게 있는데요. 그들의 임무는 예를들어, 김정은이 1950년 1월 1일 고아들을 모으라 하면 명분을 가지고 꽃제비들을 3-6개월 동안 데리고 있다 나중에 고아원으로 보냅니다.


둘째로, 고아들이 어떻게 사회로 진출하는 겁니다. 보통 일반 사람들이라면 특별한게 없습니다. 졸업하면 대학에 가거나 군에 가거나 하지만 고아들은 다릅니다.고아들은 보호자가 없기 때문에 대학을 가거나 군에 가거나 당원이 될 수 없습니다. 단체 동원이라고 해서 밥을 먹을 수만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단체로 이동합니다. 제 자신도 비슷한 경험을 했지만 정말 열심히 일 했는데도 불구하고 출신성분이 안 좋았기 때문에 당원이 될 수 없었습니다.고아들은 농장이나 탄광으로 갑니다. 소수는 , 한 10중 하나는 친척집으로 가지만 이 고아 성인을 키우고 먹여야하고 보증까지 서야 하는데 그렇게 하는 친척이 있기가 힘들지요.


고아원과 고아원의 인권에 대해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고아원의 인권은 학대, 폭행의 범위가 심각합니다. 사진들을 보여 드릴겁니다. 고아들은 작습니다. 사진에 있는 고아들은 16세 17세 키가 130-135cm 입니다 한국의 유치원생들 키와 같습니다. 고아들이 구타 때문에 실제로 죽게 된 경우도 있습니다. 선생님이 구타하여 죽었어도 처벌 받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공식적인 서류에는 병고나 다른 사유로 죽었다고 보도되기 때문이죠. 아이를 죽게한 선생님은 그 다음날 교단에 섭니다.선생님은 처벌 받지 안습니다. 때로는 고아들끼리 싸워서 죽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어떻게 그들이 결국 죽음으로 가는 싸움에 처할수 있냐고 묻습니다. 이것은 고아원의 특성상 생존 싸움입니다. 그들은 선생님으로 부터 폭력을 배웁니다. 아이를 주먹으로 치면 여전히 약해요 하지만 지휘봉이나클럽을 사용해서 때리면 더 강해지겠죠. 강해지면 인정을 받게되고 약육강식으로 진행되느게 고아원의 현실입니다. 선생님의 폭행으로 사망한 숫자보다 아이들끼리 싸워 죽은 숫자가 더 많다고 합니다.


그들은 노동으로 죽습니다. 겨울에는 나무를 하러 산에 가고, 여름에는 농사를 지으러 밭에 갑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밭으로 가서 일하고 농사짓는 것을 좋아합니다. 고아원 울타리 밖으로 나갈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에 좋아하기도 하고. 또한 선생님들을 위해 비공개적으로 일하는 것이기때문에 선생님들은 우리에게 고아원 음식이아닌 밖의 집에서 만든 음식을 맛 볼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좋아하죠. 부유한 선생님은 고아들을 3-4년 동안 자기 집에서 노예로 부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유에 대해 말하고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북한에는 자유가 없습니다. 그러나 고아들은 보통 사람보다 훨씬 더 적은 자유를 가지고 산다는것을 이해 하셔야 합니다. 고아들이 고아원 울타리 밖으로 나갔다는 자체가 불법입니다. 우리는 밖으로 나갈 수가 없습니다. 예를들어, 만약고아가 거리에서 방황할때 외국 사람들이 길에서 고아를 보는건 우리 지도자에게 수치스러운 일입니다. 그래서 고아들은 울타리 밖으로 나갈수 없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 처럼 개인적인 업무로 선생님들을 위해 나갈때만 울타리 밖으로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우리는 좋아하죠. 많은 세부 정보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싶지만,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나중에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또 다른 것은 성적 학대입니다.조금 일찍 성숙한 5학년이나 6학년 초등학교 여자아이라 가정할 때, 총각 선생님이그 아이들은 경비실로 끌려가 우리가 지켜보는데 몸을 만지고 성적 학대를 받습니다. 때때로 임신도 한 상태지만 선생님은 이런 사실을 은폐하기위해 강제 낙태를 시키고 신고를해도 모든것은 약자인 소녀의 탓으로 돌립니다.


제가 앓았던 질병은 옷, 수두, 파르피스였습니다. 북한 고아들이 겪고 있는 피부 발진 같은 질병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온몸에 발진이 전염된다는 것을 알게해 주고 고아원 뒤뜰에 캠프파이어를 설치해 소독을 위해 화학물질을 넣고 같이 모이게 하고 담요를 덮어 줍니다. 정말 끔찍한 상황입니다. 고아들이 알몸으로 이 화재로 인한 유황연기로 소독 될수 있다는거죠. 너무 더워서 견딜수가 없었어요. 너무 뜨거워 담요 밖으로 나가려면 형들이 뒤에서 진을 치고 나가려는 자들을 다시 안으로 넣습니다. 우리를 고문하는거죠. 이것이 제가 기억하는 가장 끔찍한 경험이었습니다.


또한 저는 기본적인 생활 상황, 음식, 취침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매우 더럽고요. 많은 침대 벌레와 곤충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아침 식사를 하실지도 모르는데… 비 위생적인 상황에 대해서인데, 사실 이것은 우리를 위한 놀이의 일부입니다. 만약 침대 이를 잡았다면 그 이는 우리의 피를 먹었기 때문에 이 이를 먹으면 자기의 피를 먹을 수 있다는 의미죠. 이런일은 겨울에 일어나고 별로 신경쓰지 않습니다. 여자아이들이나 남자아이들이 모두 옷을 벗겨 모여 커다란 욕실에서 강제로 함께 목욕을 하게 합니다. 공식적으로 겨울 동안 한번 목욕을 할수 있습니다.그래서 고아들이 침대 이를 먹게되는 끔찍한 상황이 되는거죠. 열명이 같이 잡니다. 여기서 이를 먹게 되는거죠. 정부는 겨울 동안 단지 한 벌의 옷만 줍니다.


한수애 양은 실제로 UN 원조를 언급했고 그 고아원도 많은 UN 원조를 받았습니다. 원조가 없다면 고아들은 죽게 될 겁니다. 유엔 원조로 밀가루를 보냈다면 그밀가루로 만든 빵을 저는 한번도 먹어본적이 없습니다. 이유는 가격 때문입니다. 흰 밀가루는 옥수수 가격의 두 배입니다. 그 밀가루를 받으면 그것을 가지고 장마당에가서 팔고 옥수수가루를 사가지고 고아원으로 옵니다. 밀가루 가격이 두배여서 옥수수가루를 두배로 가져와서 반은 교직원들 배급주고 반은 아이들에게 먹이는데 제가 그곳에서 7년 동안 사는 동안 우리는 굶주리고 옥수수조차 없어요. 수건도 지원 받았는데 ⅔ 만 잘라줘요. 하나 전체를 주면 장마당에가서 다른것으로 바꾸어 먹을까 봐요. 옥수수 가루와 벼 뿌리를 섞어서 갈아 먹었습니다. 이것을 먹은 아이들이 섬유질이 너무 많아서 배가붓고 배가 임신부처럼 배가 커지고 너무 아프고 죽을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배가 커진 아이를 엎어 놓고 약을 바른 후 항문에 손을 넣어 뱃속에 있는것을 빼내는데 창자가 파열되고 아이는 죽는다고 비명을 지르지요. 선생님들은 몸에 나쁘다고 더 이상 먹지 말라고 하지만 아이들은 배가 고파서 여전히 먹습니다.


제가 벌써 말씀 드린바와 같이 매우 간단합니다. 우리는 북한을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북한 전체가 노예 제도의 나라입니다. 하지만 북한 내 고아들은 더 비참한 노예들입니다. 북한 사람들도 농사를 지을 수 있고 장사도 할 수있습니다. 실제로 일을 할 수 있고 적어도 생계를 위해 노력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아는 쓰레기와 같습니다. 그들은 한 곳에 숨겨져 있었고 무시 당하고 버려졌습니다. 심지어 그들 자신을 위해 노력하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을 돕고 구조해야합니다. 그들의 생존력과 살겠다는 의지는 보통 평범한 북한 사람들의 의지보다 몇배 더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중국에서 한 고아를 인터뷰한적이 있습니다. 그 소녀들은 각지로 팔려갔고 남자들은 그곳에서 광산이나 다른 심한일들을 6년동안 했다고 합니다. 또 저는 남한에서 처음에는 탈북한 고아를 인터뷰를 했는데 망명 후에도 북한 탈북자들도 고아들과 거리를 두려하여 더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들을 구조하고 돕기 위한 계속해서 절실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고아들이 얼마나 영양실조와 키가 작은지 공유하고 싶었던것 같습니다. 사진에 보면 제가 왼쪽 위에 있고요 키가 145cm 였고 제일 컸습니다. 다른 아이들은 130-135cm 입니다. 들어 주신 것 감사합니다.


파밸 클라인


가슴아픈 이야기입니다.저희와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 하실수 있는 시간인데요. 괜찮으시다면 이위락씨한테 제 질문을 먼저하겠는데요. 첫 번째 질문은 지금 고아원 상황은 그때와 비슷한가요 아니면 더 나쁠까요? 두 번째 질문은 우리가 어떻게 도울까요?


이위락


좋아요. 이해했습니다. 첫 번째 질문에 대답해 드리겠습니다.북한의 지금 현 상황은 추측할수 있을 뿐이죠. 제가 탈북한지 괘 되어서 현재 사실 확인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 추측으로는 예전보다 더 나빠진것 같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김정은은 고난의 행군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고아들은 그 행군의 최고의 희생자가 될 것입니다. 김정은 정부에서는 북한의 사회 주의를 홍보하기 위해서 고아원을 홍보했지만 저는 그것이 쇼라는걸 알고 있습니다. 북한 고아원 문제가 한 고아원에서 해결 될 수 없습니다. 쇼 케이스를 열었지만 북한의 전체 고아원 등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죠. 당장 북한에 있는 나머지 고아들은 농경마을 농업에서 김 매는 철이라 보리밭에서 잡초를 뽑는 힘든 노동에 끌려간 것 같습니다. 우리는 제대로된 연장, 호미가 없었습니다. 돌을 사용했어야했고 200명 정도의 고아들이 있었지만 30개의 호미 밖에 없어서 5학년 이상은 호미로 하고 어린 아이들은 석기 시대 처럼 날카로운 돌을 갈아서 사용해야 했습니다. 줄을 서서 멋 있게 보이려고 노래를 부르며 행진 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고통을 감추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제가 현재 상황을 추측하자면 적어도 예전처럼 나쁘거나 혹은 더 나빠졌을 거예요. 그들이 김정은 정권이 고난의 행군을 이야기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고아들이 더 심한 고통을 받을것입니다.


우리가 도울 수있는 방법은 고아원에 대한 직접적인 원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거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고아 였을 때 외국인을 두번 봤습니다. 한번은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 사진을 찍고, 또 다른 때는 가장 잘 먹어 통통한 고아의 사진을, 내가 보았을 때 그들은 전과 후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영양실조 아이들을 돌보는것은 고아들의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 의미하지 않습니다. 고아들에게 갑자기 음식 섭취를 늘이면 사실 더 많은 아이들이 죽습니다. 그들은 지방 함량이 높은 월병이나 라면 같은 음식을 주면 설사를하고 더 많은 아이들이 죽습니다. 한국과 UN 에서 오는 많은 지원과 물자들이 고아원으로 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상황에서는 외국인이 직접 고아원에가서 사실 여부를 찾아내고 실태 조사를하고 직접적인 지원에 관여해야합니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 더 가까이 모니터링 및 지원을 제공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파벨 클라인


시간이 부족하고 업무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우리가 소망 했던 질문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청중들에게 여러분의 질문에 접근하지 못한것에 대해 사과 드립니다. 불행히도 중대한 업무상의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마지막 마무리로 수잔에게 정리를 부탁하고 싶습니다. 회의는 끝났습니다. 이런 압박 상황 중에도 참여해 주신 모든 연사님들께 감사 드립니다.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찾아왔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참여해 주시고 여러분의 경험과 통찰력을 공유해 주심에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는 여러분께 후속 조치를 취할 수있기를 희망합니다.프리덤위크의 목적은 말로만 하는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끄는것입니다. 수잔의 모토가 “Acta Non Verba”이기 때문에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이 주간 후에 후속 조치를 취하기를 희망합니다. 수잔씨..


수잔 숄티


네, 파벨 클라인 박사님, 이사벨라 재단과 훌륭한 손님들 대단히 감사합니다. 저희와 함께 해 주시고 많은 도전을 견디어 주신 관객 여러분께 정말 감사 드립니다. 우리가 겪었던 기술적 문제들 중 몇가지에 대해 뭔가 다른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제이슨에게 듣겠지만 사이버 공격이 있었던것 같아요. 증인들은 너무 훌륭했고요. 시차 적응에 어려움이 있었고 잘라진 일부분 보전하여 비디오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공유된 정말 가치있는 정보가 너무 많았기 때문입니다.


우리와 참여해 주신 모든분들께 또한 열린 국경이라는 주제로 이사벨라에게 재단에게 특별히 감사 드립니다. 특정 분야에 다루어야 할 많은 분야들의 주제를 여러분께 드렸습니다. 저는 우리는 인도주의적 지원을 가지고 있는 두려움을 안다는것이 매우 가치가 있고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인도적 지원을 보내기 원한다고 항상 느꼈지만 그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소비 지점에, 감시가 실시 되기를 원해야 합니다. 그들이 감시 되는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함께해 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아버지 자유 북한! 아버지 자유 북한! 아버지 자유 북한!


김성민


수잔 감사합니다. 파벨 감사합니다. 참여자분들 감사합니다. 감사함을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