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Minds...

Escape from North Korea

Hosted by The Heritage Foundation

WASHINGTON, DC
Wednesday, April 28
5:00 PM EST

SEOUL, KOREA
Thursday, April 29
6:00 AM KST

Event Description


Opening minds... will be Bruce Klingner and Olivia Enos of the Heritage Foundation who will host two panel sessions: one with North Korean escapees explaining what led them to escape, what opened their minds to the outside world, and then a second session will feature North Korea defector NGO leaders who have been leading efforts to open more minds by getting information into North Korea.


한국 영상이 곧 공개됩니다

English Transcript

NKFW 2021 - Open Minds hosted by The Heritage Foundation

Wednesday, April 28, 2021 at 5:00 PM

Olivia Enos

Hello and welcome to the Heritage Foundation's North Korea Freedom Week Panel, Opening Minds in North Korea. I'm Olivia Enos, Senior Policy Analyst in the Asian Studies Center at the Heritage Foundation, and I'm co-hosting this panel today with my esteemed colleague, Senior Research Fellow for Northeast Asia, Bruce Klingner. We're truly delighted to participate in North Korea Freedom Week once again and are eternally grateful to both Suzanne and Jason for coordinating an impactful week of events.

When Suzanne first approached us about hosting a panel, Bruce and I were delighted to participate and especially intrigued by the concept of “Opening Minds” in North Korea. Promoting openness in North Korea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to both of us because we understand the intrinsic power of having information.

Ever since I first became interested in the plight of the North Korean people, all the way back in college, I remember hearing stories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defected because they heard about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radio, or because they gained access to a Bible and found their Christian faith, or because they watched a South Korean drama or an American movie that then prompted them to flee and to leave the country. These stories are really inspiring and in many cases seemingly impossible in a regime that is so closed off to the rest of the world. That North Koreans gain access to information at all is a testament to their ingenuity and persistence, it's a testament to their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and it speaks to their desire to seek out and find out more about the outside world, the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38th parallel.

It's also a testament to the dedication of South Korean NGOs, missionaries, and persistent information access warriors around the globe who do what they can to bring information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These days, it requires actual bravery to promote information access in North Korea, becau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done so much to curtail that access and to limit freedom of speech and expression of its own South Korean citizens, particularly through its anti-leaflet law.

That law has a restrictive scope that is far more expansive than merely restricting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It limits what can be sent into North Korea by broadly defining leaflets as advertisements, so-called propaganda, auxiliary memory devices like USBs, and even money. In addition, it prohibits the posting of visual aids such as posters along the border area and makes it illegal to broadcast loudspeaker messages along the demarcation line. The punishment, in fact, for violating this law is up to three years in prison, and approximately 30,000 US dollars in fines. Actually, the second panelists who were supposed to join my colleague, Bruce Klingner's panel, Park Sang-hak and Park Jung-ho, have disappeared right before the panel and we're not actually sure why, but they were slated to host balloon launches along the border just this week.

We expect these types of restrictions to come from the Kim regime, but we don't nor should we have to expect them from a democratically elected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Our hope through these panels today is to first let North Koreans in their own words explain how vital access to information is for them. For many, it is an actual lifeline. And in the second panel, Bruce will lead a discussion on how we can do more to open minds in North Korea and promote vital access to information.

Before I introduce the speakers, I wanted to cover a few brief housekeeping items, including that we'll be taking Q&A and you can submit that through a particular link that's already been distributed to attendees and also a reminder that panelists can listen in either Korean or English, so please be sure to choose the option that works best for you.

Without further ado, I would like to introduce our fabulous speakers for our first panel, which will focus on what opened their minds in North Korea. Our first speaker is going to be Choi Jeong-ho. Prior to his defection, he worked at a foreign currency earning company in Hyesan in Ryanggang Province as vice director and he served as a warehouse manager at Kim Il Sung Military University. He defected to South Korea in 2016. Our second speaker will be Choi Guem-nam who served in the North Korean military with the 108th division as a tank driver from 1985 to 1999. After serving in the military, he worked as an airplane manufacturer, and he defected with his family to South Korea back in 2013. Today, he actually runs his own business inside of South Korea. Finally, we have our third speaker, Kim Ji-young. Kim was born in Hyesan as well. She studied at Kim Il Sung University and later founded a successful restaurant inside of North Korea. When her family fell out of favor with the regime, they made the decision to defect, also in 2013. During her time in North Korea, she was not aware of the hardships all around the country, but she was determined to help after she learned more once she had defected. And that's why she works for Free North Korea Radio today.

So without further ado, I'm going to hand it over to our first speaker to give brief remarks. So I'll now invite Choi Jeong-ho to give us his first comments.

Choi Jeong-ho

Hello, everybody. I defected and I entered South Korea on November 23, 2016. My name is Choi Jeong-ho. This is the motivation, the reason I ended up coming to South Korea when I lived in North Korea. My family members actually left North Korea and I was living there alone and I was very lonely. I had this friend, one of my friends, he said, “I know that you're lonely. Let's have a drink. Let's go somewhere.” So I followed my friend. We were sharing a drink and a South Korean TV drama was on. It kind of soothed my mind, I felt comfortable. So I ended up watching and I think it was a miniseries about 40 or 50 episodes. However, I belonged to the Communist Party when I was in North Korea. I, myself, actually tried not to watch South Korean drama that much. I had made up my mind and upheld my promise to protect my country. But then my friend turned on the TV. He wanted to console my lonely mind. After I saw this drama, I realized that South Korea is not the actual South Korea that I heard from North Korea. They said South Korea is corrupt and the people don't have houses. But then from that South Korean drama - “Stairway to Heaven", that was the title of the drama - the apartment that was shown in the drama, it was dramatically different from what I heard or what I actually knew. I asked my friend,

“Is this the real South Korea? Is this for real? Maybe they want to brainwash us. Maybe they’re making this lie and this is far from reality.”

My friend is like,

“You just need to watch a little bit, and then you will know” and he thought it can show that it's actual reality and what's going on in South Korea and that they're actually living very, very well.

So I was still confused, and at the same time I was not confused...

Later I went to the marketplace, and I purchased the CD which has the drama recorded on it. There were so many different movies. I rewatched "Stairway to Heaven", action movies, and other things. Just wow. Then I realized that South Korea is really different from what I had thought so far. I was so surprised, I was in shock! I realized that all I knew was a lie. I started doubting the North Korean regime, the government, and my initial promise to the Communist Party and the military. Once I started doubting, it kind of started shaking all the belief that I had, the promise that I had, because I realized that it was based on falsehood. So I was strengthened and I gained a lot of energy by watching Korean dramas and movies.

When it comes to radio listening in North Korea, if you listen to a South Korean radio program, once you get caught, once they find you, you get arrested. You could die. But I started listening to the radio, and at first I couldn't find the right channel. There was a noise and I couldn't find it. But then there was a song. I can't think of the title of the song, but it was sung by the famous singer whose name is Sun Hee Lee, a great singer. There was a song by Hu Na Na. the songs were so much better than in North Korea too. It was fresher. My heart was drawn into these songs and it was different from North Korean songs I had been listening to. And so I started listening to the radio on a daily basis.

There was a song I remember. Whenever I was lonely, if I was really feeling sad and lonely I still remember, the lyric goes like "I came with the dream, I am holding the dream in my heart and there is nothing you cannot do if you try", "the good days, new days, will return to you." It was just so fitting to my situation, to my heart. I was really consoled by that song. This is something I learned after I came to South Korea.

But then, North Korea radio programs are so different. They don't really speak of personal dreams or hope or anything like that. It's all about the propaganda. And another thing, there was another program with a conversation between a woman and a man. They sounded like they're from North Korea, because I think they were actually from North Korea, not South Korean people acting as if they were North Korean. It sounded real. So I heard that specific program, I think the title was "As a people who love their hometown" or something. I listened to that specific program dozens of times, because I wanted to know if this was real or not. There were a lot of rumors like, they were going to lure you by putting on a beautiful woman and then you get arrested. But I kept listening to their own experiences.

I realized that everything I had heard, what I had learned before, I knew it was all falsehood. So I had to listen to that dozens of times until I made up my mind that I want to leave this country for myself, so that I can find my own freedom too. But it took so many times listening to this particular program.

My family member, my brother, asked me,

"Did you change your mind? Now you have changed your mind?"

And then I said, "Yes, yes. Now I have changed my mind."

And he said, "Okay, so I am going to wait for you since you're ready, and you have changed."

And so someone came to me. They picked me up. So with my family, I crossed the Amnok River, the river of death. I went to Thailand first and then I stayed there for about a month. Then I entered South Korea about a month later.

Now, here in South Korea, I am living a free, happy life. Right now I'm thinking about if I had not listened to the radio and TV program at the time, could this be possible? Could I live this happily and freely? And now I'm free, I have nothing to worry about.

So now this is a time for me to actually deliver this good news and deliver this message to people who live in North Korea, so that they learn about this and they can have changed their minds as well. That's why I got involved in this movement, this meaningful cause.

Olivia Enos

Thank you so much. Choi Guem-nam, would you like to speak next?

Choi Guem-nam

Hello, everyone. In November of 2013 I defected to South Korea. The reason that I defected from North Korea is that in the 1970s my father was a well to do official high official, but he made some mistake, and he was imprisoned and eventually executed.

And I was in the military. And even if they killed my father, because of my indoctrination, I just thought that I will be faithful. I've been loyal to the government. I thought that my father must have made some mistake. And he did not, could not protest or make an excuse or speak for himself. And at that time, when I was released after 15 years of military service, they didn't discharge us rather they sent us to the labor force. And I went to work at an airplane manufacturing plant. And, again, I was put into hardship. And it was hard to survive and make a living. And at that time, my older brother was in the security force. And he said, “It's very hard to live there. So why don't you come on out.”

So I was released from the factory and I moved to different cities, from Pyongyang to Sinuiju. And we did a lot of things like a merchant trade. And while doing that, my business, my older brother went to prison, because they said it was illegal to have that kind of free trade. So he was tortured and he was executed. My father had died. My older brother died. I lost it after that. I came to realize that this regime, they persecute the citizens who tried to make their life a little bit better, they didn't do anything wrong.

So in a while, I was working with my older brother, and my older brother would share what his experience was like with the security force. And he told me about the bad aspects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advantag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at that time I was able to get a radio made by Sharp. And when I turned on the radio, it was a Free North Korea Radio broadcast system. I heard that sound. I thought it would be a radio broadcast fro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but it was from something else. And I said, "What is this?" And I paid attention. Of course, during the day, I could not listen, but at night our family, my mom, my children, my wife huddled under a blanket and we listened to the radio.

And what is most amazing was about the story, testimony of the defectors in South Korea. So looking back, it was a program called "Now On My Way To Meet You". And there was a regular panelist. And when I heard that somebody escaped risking their lives, there was hope. And I also saw, I don't know who sent it, but I think it was Park Sang-hak or somebody, but I saw a flyer that said that in Busan beach, people were enjoying bathing, swimming, and there were tons of car, tons of taxis.

There was another defector. And this person, actually knived the Chinese official in the course of escape, he was in prison, but he was released, and then he defected. So having heard that I thought, maybe I can make it. So after my father and my older brother were killed, I thought maybe I should do this.

My mom told me if you stay here, you're gonna die, you will be killed. So you should leave. You listen to the radio. And even what you share with your older brother, share with you, I think that will be true. You are a man, you should find out what the outside world is like. So my mom pushed me to leave. At that time, my mom was 72 years old. And I wondered when I leave, who will take care of my mom? So I talked to my younger sibling. And I told them I'm going to leave, I'm going to escape, and even in the process of leaving, even if I die, I will not regret it.

So in November, my son was 10 years old. 10 years old. That's elementary school-age, what do they know? So we hid in the mountain. We made a cave and we hid there for about a month. So we practiced. We practiced, exercised, and climbed the mountain. In Mount Paektu there was no guide, so we practiced for about a month how to climb the mountain so that we could have enough strength to actually be able to escape. So we went, we crossed the Tumen River and for four days we only traveled at night, because during the day, there are a lot of patrols. So we tried to avoid that surveillance.

We moved at night. So many miles every night. And then I met somebody in China who helped me and I went to a city, and I heard that if you go to church, somebody will help. I heard that on the radio, if you go to church, a pastor or an evangelist, if you beg them, they will help you. So I went to Chinese churches, five churches, but they rejected me. I knelt down with my family to those Chinese Christians. We escaped because there was no way of surviving in North Korea. My toes were showing in my shoes, my clothes were all worn out. I didn't wash for two months, I was so dirty. But the Chinese churches were organized by Chinese government, so they kicked us out. I was so angry, but I had to find another way. So I had to make my own way.

So I tried to stop talking to somebody who was speaking Chinese, and only spoke to Koreans. One person actually sold us to a pig farm near Siberia. And nobody welcomed us for a month and a half. I was subject to hard labor. We escaped again. And we tried to look for a broker. And finally I met somebody with the right connection. Finally I was able to go to South Korea. Now I live in my own house, I drive my own car, I have my own business. But I told defectors not to go to church because I was rejected. My son is studying business management now. Me and my wife. We don't have a lot of capital. We are operating a small manufacturing plant. Among all the factories in South Korea, no one is involved with any kind of manufacturing business. I'm the only one now. I utilize my experience from that airplane manufacturing plant, so I'm doing that manufacturing now.

The current South Korean regime has illegalized all different methods of information promotion, the flyers and the radio and putting a $1 bill in a PET plastic bottle. These are very effective but somehow this government, this administration, has prevented us from doing this. This administration is so afraid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at they would persecut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So in North Korea, they don't have electricity, they don't have access to radio, but you know I left my radio in North Korea, I'm sure my younger brother is listening, waiting for my story through that radio. I was able to bring my younger brother and older sister out.

There are so many people like me in North Korea. And they are so curious about how people live in the outside world, what the environment is like... So the sooner we bring in the truth and information, they can open their hearts and their eyes. Economic sanctions are not going to work. The harder the sanctions are, Kim will just tighten more of his control. So with radio, with flyers, and plastic bottles, with all necessary means we should share the information to people in North Korea. My mom, when my dad was killed, we couldn't even retrieve the body. My in-laws live in a society of slaves. There is no society like this in the world. Please help me. Please help us. Thank you very much.

Olivia Enos

It’s so inspiring to hear your story and that you're continuing to do all of this work, including hopefully getting your brother to freedom as well. We hope that that will be the case. Kim Ji-yeon, we now invite you to speak.

Kim Ji-yeon

Hello everybody, I became a South Korean citizen in 2013. I live in South Korea now. My name is Kim Ji-yeon. And in fact, I actually lived as a citizen of Pyongyang until November 2012. And I crossed the Yalu River and came to South Korea, and the motivation for how I came to South Korea, what can I say? I actually ended up in a position where I had to pledge my loyalty and just dedicated my life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n I wanted to find freedom. That's how I wanted to come to South Korea.

When I lived in North Korea, I was well educated. And I was one of those people who obliged. I tried not to do anything that the government told us not to do. But I was the kind of person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d to take care of; I was under their protection. But then I felt like I was betrayed, I experienced betrayal. But then I gave my loyalty to them. But then once I felt betrayed by them, the shock was even more tremendous. And, in fact, in North Korea, we were told that there wasn’t freedom in South Korea and the US. So because I was lied to, I felt so wronged when I lived in North Korea because of the betrayal.

I wanted to go to South Korea or the US and actually speak out, which is anti-North Korea. But then I was actually watching South Korea's movies, also called Korean Wave. We were so thirsty, we were waiting for them to be available because 80% of the movies or news programs that are available in North Korea, that's really about propaganda. That's about the government and their policies. And once we started watching the South Korean dramas and movies, that actually was the beginning point, I began to think that maybe some of them are true.

And so I started listening to the radio before I actually made up my mind to leave for South Korea. And after I started listening to the radio, I wanted more information. Usually, 2-3 am is the best time to listen to the radio, because the radio shortwave is very stable and clear. What struck me most was Free North Korea Radio (FNKR), because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other foreign radio broadcasts such as KBS, SBS, and RFA are very hard to comprehend. They use words that North Koreans have never heard of. So, when I found out about FNKR, the very first thing came to my mind was, “Oh, I might be able to understand and relate myself to it.” After I defected to South Korea, I learned that FNKR is run by North Korean defectors. Anyway, as I started listening to FNKR before my defection in the North, the word “North Korea” in the name of FNKR made me think that FNKR truly invokes the sense of familiarity by directly targeting North Koreans. Further, through FNKR, I was very thrilled to find out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living well in South Korea. Also, I felt something in my heart as I hear North Korean dialect and accent on FNKR. Eventually, I started imagining myself being on FNKR, telling North Koreans to come to South Korea. I wanted to find out whether North Korean defectors are truly living well in South Korea. I wanted to see it for myself. We need to acknowledge the salient role that radio broadcast has been assuming by directly delivering the stor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the South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It’s mostly about North Korean refugees, defectors who live in South Korea who are living a very good, happy life. And these could be very powerful messages. I think, directly and indirectly, by delivering a message to North Korea, we can help our unification. It’s what we’re working towards: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f North Korean people who are still thinking about leaving the country and defecting, then listening to this type of program can help.

Other types of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re already happening outside of North Korea. But this type of effort and preparation has to be also with North Koreans. If you listen to that kind of program and listen to that information, maybe that's North Korean people's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this is w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fears the most, the informed people who thirst for freedom and who want to have this interchange.

So I think, because we were separated for 70 years, North Korean people, once they listen to the radio programs or TV drama for the first time, it is very possible that they don't know what they're talking about. They don't understand it's the same language. It's not like a different dialect or anything like that, but they won't be able to understand each other. But if they keep listening to a radio program specially designed for the North Korean people, they will start understanding and it will be their preparation for their new life in South Korea. We can help and make their dreams possible.

There is the saying: if you want to win a war, you have to know your enemies. Right. And I think the people who are North Korean, we have to target the educated people. I think it's meaningful and we have to continue to do more of this broadcasting or programming that is about North Korean people. So for this week, this is a very valuable opportunity and a chance that we can amplify our voice for the North Korean people, and what other people, all the stakeholders, are doing for us in this movement. I think it's very meaningful.

Suzanne and Olivia, they have tremendous interest in North Korea, and I cannot thank you enough for this opportunity. Thank you again.

Olivia Enos

It was really great to hear from you. And I especially liked what you said about how the North Korean government -- the Kim regime -- they fear an informed people and so that's why it's so important to be able to get information into North Korea. So thank you for sharing that.

We have a number of questions coming in from the audience. And I will go ahead and pose one of them to you now. I'm hoping we can get to two or three of them in this panel. The first question is, is there anything that we can do as individuals to promote freedom in North Korea? And I think this is open to any of the panelists. I think maybe we have lost Choi Jeong Ho but hopefully he can join us back here but either Choi Geum Nam or Kim Ji Young, either of you are free to answer that.

Kim Ji Young

what an individual can help, what can they do to help with North Korean freedom, because there's no official or legal channel to send information. And because of that an individual really cannot initiate that kind of information sending to North Korea, but only a certain organization and well organized effort can do that. There are many channels to help out North Koreans in North Korea, Suzanne and Olivia, there are people who work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even in South Korea there are many organizations that are working for freedom in North Korea now. These organizations need to collaborate and find creative, innovative ways to send information to North Korea. And, as Mr. Choi Geum-nam said, when he asked for help, even the passersby, he was rejected by them. But I think now, there will be more people who are willing to give them help.

Olivia Enos

Choi Geum-nam, did you want to add something?

Choi Guem-nam

When I was rejected from a church in China, now, I understand why that happened. At that time, the Chinese churches were good. But because they were under tight surveillance of Chinese government, if they accept defectors, their church will be shut down. So they had to reject the refugees. Now I understand.

But now I am in South Korea, there are many churches, Catholics, or Buddhists; there's freedom of religion in South Korea. This is a wonderful society. We live in this open freedom society. And we receive care and love from the neighbors. And even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re helping, but then North Koreans say the United States is their archenemy. I learned that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many countries tried to help promote freedom in North Korea, and they support it. So people in North Korea are not aware of that.

Now through radio programming and flyer distribution, I can make a difference. There is a Korean proverb that says that a small water drop can make a hole in a rock or something like that. It's a small effort that can make a difference.

Now there are 30,000 defectors, I think it will increase to 300,000 in some time. My older brother in the security force told me he saw a secret document, a classified document, that 1,200,000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re was some sort of data about the factors. So when I came to South Korea, Kim Yoo Jung, Park Sang Hak, all these people. They sent that information to us through a flyer or balloon or radio. Because if you send it to Kangwon, you can receive it. You can receive the broadcast very clearly, especially at night. It's a clear broadcast. So the defectors testimony of their hometown in North Korea there with their own North Korean dialect, these stories are so moving.

So you're aware that when you go to China, there's a lot of bright lights but in North Korea, it's utterly dark. In North Korea, you are not to listen, you are not to talk, you're not to see, you cannot express. I now know why. But the nature of people when they are prevented from doing something, they’d rather do more.

People in North Korea, they have already gone through hell, they are not afraid. For them to see one or two programs of South Korean media used to be like, I had to watch like 10 episodes to be convinced, but now only one or two episodes can convince people and open their eyes. So through CD or USB, North Korean people will be convinced contentwise, then they raised awareness, and they can topple Kim's regime, and give freedom to North Korean people. Give life and let them know that outside of North Korea it's not the same that and people of outside are willing to help them and give them love and care.

And I would really like to plead with you, please help detectors, and please help North Korean people. Again, as I said, out of three male leaders, my father and my older brother were killed. If I stayed there, I would have died. There is no regime like this in the world. In South Korea they don't execute their people. There may be prison, and life sentencing. But just because somebody asked for some food this person was hung, hung to death. How can you say this is a humane society? Even now, I'm 50 years old, if I am given a gun, I will fight for the freedom of North Korea.

Olivia Enos

Thank you so much Choi Guem-nam. I think that we ended on such an important note a call to action for every single person to help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I love the way that you put it that every little bit every little action adds up into being something really big that can help individuals inside of North Korea. Choi Guem-nam, Kim Ji-young, and I think we also lost Choi Jeong Ho, but thank you to all of you for your contributions to this panel. I'm now going to welcome my colleague, Bruce Klingner to kick off our second panel. And that promises to be a very fascinating panel as well. But thanks to all for joining us.

Panel II

Bruce Klingner

Thank you very much, Olivia, and thank you to our panelists. It really was quite a moving panel to hear the hardships that they've had to endure in both North and now in South Korea. We're all familiar with the nighttime satellite photos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show the very vivid difference between the dark, brutal oppression and poverty of North Korea from the brightness of the economic miracle of the Republic of Korea. Those photos show that North Korea is a black hole, a country in which the lights of freedom, the lights of democracy, of human rights, and for far too many people even the lights of hope have been extinguished.

Through this conference, we hope to bring some light of awareness and knowledge to the very serious issu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even more importantly, we hope that the activities that we'll hear about on the second panel will have an impact o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escapees have faced authorities that tried to prevent the freedom of speech in North Korea. And unfortunately they're now facing South Korean authorities that seek to do the same.

As Olivia has mentioned, when Suzanne Scholte came to us asking if we could co-host another event as we have done in the past, we jumped at the chance. We always embrace working with Suzanne and others who advocate on behalf of North Korean escapees and as well as host our own events.

Suzanne put together a really well-organized theme. On Monday, at AEI with Nick Eberstadt and Olivia Scheiber, there was the theme of Open Hearts of having the escapees discuss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Tonight's theme, as we've heard, is Open Minds. We heard in the first panel how information getting into North Korea did open their minds to what life was like outside of North Korea, which was a vivid contrast to what the regime had been telling them.

In the second panel, we'll hear about the efforts that many of these escapees are making to try to open even more minds in North Korea. And then immediately after this event, there's another event with the theme of Open Borders with Dr. Pavel Klein of the Isabella Foundation that will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the vulnerable population, especially children in North Korea, and how humanitarian assistance can be provided to address the needs of the population.

As you've noticed, we've had some technical issues tonight, but please bear with us. We're dealing with two different continents, two different time zones, two different languages, but of far greater concern, we've lost contact with two of our panelists. We're unsure where they are and we are concerned and hopeful and praying for their safety.

So on this panel we've lost two of the panelists. As a replacement, first we'll hear from Kim Seong Min who's the founder of Free North Korea Radio. He will discuss the situation with the two missing panelists, as well as discuss in greater detail what he has been doing to try to get information into North Korea via radio. The second panelist will be Choi Jung Hoon, who will brief on foreign radio broadcasts into North Korea as well as Kpop SD cards. He was a graduate of Kim Il Sung military school and the 144th division political officer. Before his defection, he worked in Ryanggang province construction company. Then our third panelist will be Jeong Se Yuel, who will brief on sending outside information in North Korea via balloons. He was a North Korean metallurgy university professor, the Chongjin Association of construction technician and he escaped from North Korean and moved to South Korea in 2008. He is the president of the Geryol Unification Association. So first, I'm going to ask if Kim Seong Min could unmute his microphone and talk to us not only about Free North Korea Radio but about our two panelists.

Kim Seong Min

Hello, I am Kim Seong Min. So I was not supposed to speak. I am speaking in place of Park Sang-hak. First of all, to Suzanne Scholte, I have to say thank you. My sincere gratitude for making this event a reality. And to other stakeholders Including, Mr. Bruce Klingner, thank you very much. And I have to say, we are suffering. For example, Mr. Park Sang-hak this week wanted to distribute the leaflets. He came under severe surveillance by the Moon Jae In administration. They've been watching Mr. Park in the mere name of protecting their safety, but then it's actually surveillance and suppression of their activities.

They declared that they're going to distribute the leaflets and send information to North Korea. Ever since they declared that, the police activities towards them have dramatically changed. This is literally a visible suppression, they don't want them to do that. It's very clear. Distributing leaflets to North Korea and radio broadcasting, they are very important. I have to say, this is the symbolization of our aching hearts, because we feel sorry. We feel sorry and we feel we owe them because we are living happily in freedom. Our friends and our relatives, they're still in pain and under oppression. It makes my heart ache.

Our wish is that they would come here as well and live happily, just like us. This is very important. I cannot say this enough. Ever since the Moon administration took control, it has changed so much. They have this new policy or law and distributing leaflets is now illegal. If you do that you are going to be punished by the law. And then you'll be jailed. The fine would be more than 30,000 US dollars. They're actually denying all the work that has been done by previous administration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entire history. And this is backward. And we have to realize the severity of this policy and activities of this current administration.

Other people including Sang-hak Park, Jang Se-yuel, and Park Jung Oh will say, as the previous speakers testified, that they lived in the dark, and they lived as a fog, they were in a frog, confined in a well. But then because of this information, radio and other information, it made them, made their mind resolute. Now we cannot do that anymore. These important activities help them to open their minds and then make a resolution to leave the country. We cannot do that any longer.

Not too long ago, along with Park Sang-hak and Jang Se-yuel and other people I was asked to help them with the funding. I said that in my current activities, I am struggling myself. How can I help you with the funds and aid? But then I suddenly realized that I experienced the very same thing. I answered them, I told them that there is going to be North Korea Freedom Week. The members of that North Korea freedom committee said that we're going to open an event, then we're going to gather money, we're going to fundraise. We're going to distribute the proceeds to different organizations.

Let's talk about the police. Our police are supposed to work for our safety and freedom. But then, I don't even know if this is how the police are supposed to be.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just afraid of the Kim Jong Un administration. I'm just talking about an example of how our organizations, who are working for North Koreans’ freedom, we're just suffering, double suffering actually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re is a lack of aid and funds. And they're trying to pass another article of law that they were trying to prevent broadcast to North Korea as well. The National Assembly is also trying to pass this law for Moon's administration. Once it passes, a lot of broadcasts, even from the US and from Asia, because they're using the channel based in South Korea, once this policy or law is passed, it's basically going to block all the routes for us to deliver our message, all of the broadcast opportunities. I just cannot imagine this because this is a free country. There were checkpoints everywhere and they were stopping. And I am asking you, US citizens, all the stakeholders in the US, do you think it makes sense? I don't think so. This is unacceptable. We are still acting, we're still sending leaflets to North Korea. We did that yesterday. We're doing it today. We're going to do that tomorrow. We're not going to stop. But the leaflets and the broadcasts to North Korea, have been done for many decades by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and these for the food for their minds, and for their hope. And I think this is an evil policy that they prevent us and it's going to be judged and it's going to be punished by history. Thank you very much.

Bruce Klingner

Mr. Jang Se-yuel, if you could go ahead and do your presentation, sir.

Jang Se-yeul

This is Jang Se-yeul Jang from Geryol Unification Association. Thank you very much. As Mr. Kim Seong Min shared, the Moon administration is suppressing a lot of defector organizations that tried to bring information to North Korea. We've been affected a lot. They're trying to squeeze the source. And we are really exhausted. This is a very interesting phenomena.

About two weeks ago, my wife and I went to Ganghwa Island and I have a small motel business. So I went there and I left for the Island. And there is another small island called Sunmu Island where there is a bridge. Once we got onto the bridge, there were a lot of cars, there's a lot of traffic, and you're trying to pass by. But there were soldiers and they stopped my car. And my wife and I were startled, what is this? It was not a truck. I mean, I was just a regular sedan. It wasn't that I was driving a truck. So they wanted to search our car. But all the other cars in front of me were not searched, but why were they searching my car, I wondered. So I asked him why. This car has been specially registered. And it's not the individual soldiers fault. The government has ordered the soldier to do it.

But I was really embarrassed because a lot of people think that maybe we did something, some criminal activity because we are asked to pull over and a lot of people look at us as if we are criminals, and my wife was so upset. And I asked them, why are you searching our car? And that the officer said that there's a lot of North Korea information activity being supplied through this bridge. But this was a regular sedan. I didn't have any kind of equipment. But there was no point in getting upset with them. But my heart was heavy.

I wanted to go to my hometown. And this government is preventing us from doing that. Is this administration truly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does this South Korean government truly want North Korean lives to be improved? I shared this with a friend of mine as well, recently. Becau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pro-North Korea, there is a lot of intelligence activity that has been curtailed. So even the North Korean people who used to have some sort of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are now reducing their activity. More North Koreans have been arrested recently, because of their kind of activity of receiving information. Even people in North Korea are being penalized by the activiti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Up to now, we have said that the balloons are like the head of Kim Jong Un. That was our nickname. So a lot of these balloons have gone to North Korea. The leaflet, the snack, choco pie, that's a very popular snack, and also other food and even handwritten letters were sent to North Korea. We did it for about five years. This came to a sudden stop because of the Moon administration's activity. It’s not allowed. Now we are subject to police surveillance, search, and investigation. And our activity has been greatly suppressed.

As a defector who came to South Korea and having been raised in North Korea, my heart is heavy. This is nonsense. This society is really terrible and scary. We cannot even engage in a human rights activity and any activity for unification is going to get more and more difficult. Since I came to South Korea, this was the most unfair treatment I have experienced. I feel this is supposed to be a free society and North Korean people have misunderstandings about South Korea and they think the South Korean society is their enemy. So this South Korean society gave me a new opportunity. Now, along with my friends and my colleagues, I want to share the truth about South Korea, about democracy, about freedom, and I want to make a contribution. So I have taken it on as my mission to send information truth to North Korea. Many defectors, their trigger, what one motivate them to escape and defect to South Korea is precisely this information, either leaflet or broadcast, especially the voices of defectors and a lot of civic organizations that tried to help freedom in North Korea, there was a most effective trigger.

It's up to you to make the way for North Korean people and our step toward freedom. The Moon administration isn’t quenching their hunger. They are trampling their hopes. What is the life that North Korean people want? We have to be very clear about that. I want to send this warning or word of caution.

Yesterday in our home, the officials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Unification Ministry visited me. As I've said, I have had that motel business for about six years. They never visit. They never paid attention. Occasionally, some police or the soldiers would come and they would do some search. Or they would give us some notice. But suddenly a different level of officials came. Over the phone they said they wanted to visit this motel, since I’m the chairperson of Geryol Unification Association. They wanted to check how the organization is doing and how we are doing. I politely refused. I told them that this South Korean Unification Ministry is not only monitoring and surveillancing, but rather suppressing our activity toward North Korea. So I told them that I have nothing to say to those officials. And I had a good chance to meet the person in charge of surveillancing defectors and our organizations.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is really nonsense. Even these officials said they want to support the sending of information to North Korea, but under current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officials' hands are tied, because this is a directive from higher up so even though they are embarrassed, they would have to make this visit. So with leaflets or water balloons nicknamed Kim Jong Un's ahead, they asked us to stop those activities. So I told them since we came to South Korea, the sacred thing, the mission,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us now is this: to send information to North Korea. This i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or me, to liberate my people in North Korea. And I want to do what I can to help defectors who don't have money. We don't have status or fame. But I had pride that I was doing something for the freedom of North Korea, but this administration has taken that way. That was a very significant, fulfilling activity in my life. And they took that away, saving my family and friends. I wanted to help save people of North Korea from their suffering. Now, the Moon administration really put a nail into the coffin of all these human rights activities of defectors. We need to reconsider what is truly needed for people in North Korea and for defectors and for many other activities for North Korea. I wanna rededicate our commitment to continue this activity. Thank you.

Bruce Klingner

That was very important information, as well as a very emotional plea of seeking help to further the efforts of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Now, we'll hear from Mr. Choi Jeong-hoon, could you go ahead and make your presentation sir?

Choi Jeong-hoon

My name is Choi Jung-hoon. The organization that I am involved with, this is a human rights organization for North Korean people. And mostly, we are people who served in the military. And we usually work with video, media, and SD cards, especially the video materials. But it’s not just our organization doing this, but many other organizations too. However, the broadcast and any video material sent to North Korea has been circumvented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So how the media is accessed is from this. This is a Notel. You insert the USB and you can watch videos of the developments of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world, also news, and you can get a sort of CD or DVD and you can watch information and other video materials. And so there is this outlet you can connect to. You can insert something in it and you can also watch a Chinese broadcast. Ever since the 1940s, we started receiving outside information through China. And since 2000, a lot more information has flowed in through China. The most famous TV drama, the Korean drama, is “Stairway to Heaven." If any North Korean is asked to speak about their experience watching Korean drama or TV, that drama will be mentioned, I'm pretty sure. Ever since these materials were brought in through China to North Korea, the Kim regime organized a force to prevent this, to search people and to find out about the ways these materials are flowing into North Korea. So basically, this is a special force to arrest people who are bringing these materials and things like that.

For more than 50 year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as trying to brainwash us, saying that South Korean people are just the minions of the US government and that South Korea is full of beggars and panhandlers on the street. That they were so poor, with dirty streets, and they didn't have any place to live. But then after we watched this drama, and other outside information, we realized, for sure, that this was all falsehood, and we've been lied to for the past 50 years. So we all collected our pennies and dimes and nickels, and we purchased these Notel and other devices. We started sending these devices. We heard this testimony from those in North Korea. They had it when there was the World Cup, the soccer tournament was available in North Korea. They actually watched that tournament using these devices that we sent. And in North Korea, if you want to own a radio, you have to report it and register it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radio or the channel will be fixed on one point so that they can only listen to government broadcasts. But most recently, a lot of people started owning a device that looks like a cell phone. So we can bring in the outside information and drama and other things and you can listen to them. You can insert earphones into this and you can watch using these small devices as well. I received this news from North Korea, Free North Korea Radio, they listened to this and other broadcasts. Most importantly, the most interesting program was, “North Korean Military 24 Hours,” roughly translated. That was the most interesting program for us, because it was about our North Korean people. Also KBS, Radio Free Asia, they broadcast too, but this particular program is about North Korean people themselves who defected to other places. They testify and they speak of their own experiences. I think it's very powerful. It's even more powerful to North Koreans who are still in North Korea.

But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suppressed these activities and we're basically being oppressed. Our activities of sending these devices, the government doesn't let us do it. For example, Park Sang-hak’s leaflet activities, as you probably heard, Mr. Park Jung-ho and Park Sang-hak are missing right now. We don't know where they are. I think they went off the grid intentionally, because they realize that they are being watched. If that's the case, we don’t need to worry too much. But what if they were actually arrested secretly, and we don't know what happened. So I am also worried that they might have been arrested. If that's the case, there are many North Korean defectors who support our cause and movement. They will fight to the death for freedom.

So this is the worst thing that is done by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administration, blocking our activities to help North Korean so that they can have more information, sending them information. They are targeting these stakeholders who are working in these various organizations for North Korean Korean people in this type of movement. But then, even if we have to die, we have to give our lives up, we would not stop our activities to help North Korean people. We have to help them, the North Korean people, because they are under suppression of this closed up country under dictatorship. We have to help them. We cannot stop this. So currently, for example, Suzanne Scholte and other stakeholders. We rely on you, we rely on your help.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Bruce Klingner

That was very interesting. I learned a lot. I received a message to clarify something that I apparently misspoke before. The Moon Jae-in government cannot stop Free North Korea Radio, as it's supported by Americans and Korean Americans and its transmission is not done from South Korea. I believe I may have misspoke.

We have questions that I'll bring in here. And I'll throw them open to any of the panelists. Can we get a sense of the effectiveness of these messages by the escapees that leave North Korea and come to South Korea and can tell us how many messages they saw? How do we get a sense of how effective the messaging is to those people who are still in North Korea? When someone escapes, do we hear that many of their friends have heard these messages? Or is everyone so fearful of the security services that they don't tell their friends, they don't tell their neighbors that they've heard these messages. So how do we know how widespread the messaging is getting to North Koreans?

Choi Jeong-hoon

If you/d like to know how widespread this information is or is available to North Korea; you asked, what if the people who are in contact with this type of information are afraid of delivering this information to their neighbors or friends? Right now, it's very different even in Pyongyang. And so this is official from the current South Korean government because they already talked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it's a mutual thing. The sister of Kim Jong Un, Kim Yo Jung actually destroyed the broadcast tower that was located in North Korea. And that actually shows how widespread this type of information is available to North Korea. That's how they react to it.

We can tell the information and other things are reaching Kaesong province and also Hamhung province through China, across the Tumen River and Yalu rivers, through the border line. And Notel and radios and foreign devices and other contents are very widespread. I don't have the exact number, but I know for a fact that it's even more active now. But then, more importantly, although there is an ongoing suppression and circumvention from both administrations, we should not worry about that. because I know that North Korean people have this will to listen, will to know, and will to learn about the world outside of North Korea. They want to know. I think even in the inner part of North Korea, South Pyongan province and other areas, information was actually deeply and widely spread. There are these merchants and dealers who deliver devices and information, even to people who live far from the China-North Korea border.

We did interviews with the most recently defected North Korean people. According to those interviews and information, and the collective information that we learned from those interviews, the North Korea people know. It's widespread. through the media and other information from foreign devices. So their loyalty doesn't lie with Kim's regime and his family anymore because they think differently. So again, I don't know the exact number how many people actually were exposed or have been exposed to this type of information, but more than before. And it’s gonna be even more widespread from now on.

Kim Seong Min

May I say something too?

Bruce Klingner

Yes, go ahead.

Kim Seong Min

So, there is information on this.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Board of Governors of the US, they did some surveys. According to the survey, 85% of North Korean people are actually listening to the radio. So this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0 NK defectors and 20 of them have had traveled to China in the past. Also in 2008. we did some surveys with 200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re was this foreign agency who conducted this survey among 200 North Korean defectors. 73 people have listened. Another survey shows that 98 out of 200 NK defectors said they've listened to foreign radio broadcast at least once before their defection.

Also, there was another research or survey conducted from Ewha Women's University. Out of 200, 173 people were exposed to K-drama. That's a big number. In 2012, there was another survey with 200 people, through various NGO and other organizations, 165 people were exposed. Also a big number. And also the Japanese Government conducted a similar survey. They conducted surveys of defectors who defected since 2016. And also here, over 70% of people were exposed to drama or information of some sort. This shows that a lot of people, a major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exposed to information. They're thirsty for this type of information, for radio or video materials or just a simple single leaflet.

Once they are exposed to this type of information, the shock they feel and the impact on them is beyond our imagination. From USB too. And I think Choi Jeong-hoon did not mention it, but there is this SD, a very tiny chip. Korean Wave, Kpop, this chip can hold almost 800 different songs in this small thing.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aware of this. There is a little slot in the device where you can put this SD card. They actually manufacture the device without that port, so that the SD card couldn't be inserted. So this is like a double blocking from both ends, because we want to send them information and water balloons, but then that is block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SD card, even if we send it. But we have to think of ways to help them. We have to think of and find out the complex, comprehensive ways to help them, to deliver the message to them. And this actually should be done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ut then they declare they're now they’re not going to do it and they're even going to prevent us from doing that. That's why we're more active. We're looking for ways to help them. So help us so that we see more results, so we can keep marching this road and continue our journey.

Bruce Klingner

We have a hard stop at 7pm Eastern Time because of the next event with the Isabella Foundation. So we unfortunately couldn't get to other questions. I thank you all in the audience for bearing with us through our technical issues. As well as our two last panelists, I was struck by how widespread the message is getting in North Korea. That is very encouraging, given the difficulties that the escapees face in getting the message to North Korea, it must encourage you to know it's working and it's not that you're shouting into the wind.

It's also interesting to see that some of the most effective messaging is from the soap operas or just the soft messages as opposed to very strong anti-regime messages. And I think that we've heard that from other escapees. It's unfortunate that given the courage and the bravery that the escapees have faced trying to work against the North Korean regime and its efforts to stifle free speech, that now they are also facing efforts in South Korea to stifle free speech. It seems to be part of a growing trend of progressive authoritarianism.

So as we conclude tonight's event here at the Heritage Foundation, I'm very grateful to our colleagues formerly from North Korea, as well as Suzanne Scholte and the other organizers for this event. We welcome the opportunity to light a candle against the darkness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And we encourage everyone to remain observant of what's happening in North Korea, and do what we can to try to bring about a resolution that unfortunately people have had to work so many years against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because the situation has not improved. So with that, I thank all of our panelists and others behind the scenes who were involved and we are now concluded. Kamsahamnida.

Kim Seong Min

Thank you, kamsahamnida

한국어 녹취록

올리비아 이노스


안녕하세요. 북한 헤리티지 재단의 북한 자유 주간 패널 “생각을 열자 (오프닝 마인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헤리티지 재단의 아시아 도시 센터의 선임 정책 분석가인 올리비아 이노스입니다. 저는 오늘 이 패널을 저의 존경하는 동료인 브루스 클링너 동북아시아 수석 연구원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시 한번 북한 자유 주간에 참가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하며, 수잔과 제이슨에게 영향력 있는 한 주의 행사를 준비해 준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수잔이 패널 진행을 위해 처음 우리에게 연락했을 때, 브루스와 저는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기뻤고 특히 북한에서의 오프닝 마인드라는 개념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우리는 정보의 본질적인 힘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 개방을 촉진하는 것은 우리 두 사람 모두에게 중요한 주제였습니다. 제가 대학 시절에 북한 주민들의 고충에 관심을 갖게 된 이래, 라디오를 통해 외부 소식을 접하거나, 성경책을 접하고 기독교 신앙을 발견했거나, 남한 드라마나 미국 영화를 보고 탈북을 했다는 탈북자들의 이야기들이 기억납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정말 고무적이며, 많은 경우 북한이 정보를 전혀 접할 수 없을 정도로 세계와 단절되어 있는 체제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것이 그들의 독창성과 끈질김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이것은 북한 사람들이 시장경제를 발전시켰다는 증거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38선 너머에 존재하는 외부 세계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찾고 알고자 하는 그들의 열망을 말해줍니다. 이것은 또한 북한 주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는 한국의 NGO, 선교사들, 그리고 전 세계의 끈질긴 정보 제공 전사들의 헌신에 대한 증거이기도 합니다. 오늘날, 남한 정부는 정보 제공을 줄이고 특히 대북 전단 금지법을 통해 남한 국민들의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기 때문에 북한에 정보 접근을 촉진하는 일은 큰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 법은 단순히 전단 살포를 제한하는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제한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대북 전단지를 광고 (소위 선전 광고), USB 같은 보조 메모리 장치, 심지어 돈으로 광범위하게 정의함으로써 북한에 보낼 수 있는 것을 제한합니다. 이와 함께 국경지역에 포스터 등 시각보조기 게시를 금지하고, 경계선에 있는 확성기 메시지를 방송하는 것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법을 위반했을 때 처벌되는 것은 3년 이하의 징역과 약 3만 달러의 벌금입니다. 사실 제 동료인 브루스 클링너의 패널, 박상학, 박정호 등과 함께 하기로 되어 있던 2차 패널들이 패널 시작 바로 직전에 사라졌고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들은 이번 주 바로 국경선을 따라 풍선 발사를 진행할 예정이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유형의 제한이 김정은 정권에서 시행되는 것은 이해하지만, 한국에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행정부에서 이러한 제한이 시행되는 것은 기대할 수도 기대할 필요도 없습니다. 오늘 이 패널들을 통해 우리가 희망하는 것은 우선 북한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말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이 그들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실제 생명줄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패널에서는, 브루스가 북한 사람들의 생각을 열고 정보에 대한 중요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가 더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을 이끌 것입니다.


빌표자들을 소개하기 전에 몇 가지 간단한 하우스키핑 항목을 다루려고 하는데, 질의 응답 관련해서 질문은 이미 참석자들에게 배포되어 있는 특정 링크를 통해 제출할 수 있으며 패널들이 한국어 또는 영어로 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니 가장 적합한 옵션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거두절미하고 이제 무엇이 북한 사람들의 생각을 열었는 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줄 첫 번째 패널 멋진 연사들을 소개하여드립니다. 첫 번째 연사는 최정호 씨입니다. 탈북 전에는 양강도 혜산에 있는 외화벌이 회사에서 차장으로 근무했고 또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창고관리사로 근무하였습니다. 최씨는 2016년에 한국으로 망명하였습니다. 두 번째 연사는 1985년부터 1999년까지 108사단에서 전차 운전병으로 북한군에 복무했던 최금남씨입니다. 군 복무 후 비행기 제작사로 일했고, 2013년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망명했습니다. 오늘날 그는 실제로 한국 내에서 자신의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연사 김지영 씨를 모셨습니다. 김씨는 혜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김일성 대학에서 공부했고 후에 북한에서 성공적인 식당을 차렸습니다. 그녀의 가족이 정권의 호의를 받지 못하자, 그들은 2013년에 망명 결정을 내렸습니다. 북한에 있는 동안 그녀는 북한 전역에 있는 어려움들을 알지 못했지만, 그녀가 탈북한 후에 진실을 알게 되자 북한 사람들을 돕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녀가 오늘날 자유북한방송에서 일하는 이유입니다. 거두절미하고 최정호 씨에게 마이크를 넘기고 첫번째 발언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최정호


저는 2011년 10월 31일에 탈북해서 2011년 12월 23일에 한국에 입국하였습니다. 제 이름은 최종호이구요. 제가 한국에 오게 된 동기는북한에 있을 때 형도 한국으로 떠났고 동생들도 떠났고 부모님도 떠났을 때 혼자서 좀 외로울 때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친구가 술한잔 하러가자고 해서 갔는데 술 한잔 마시면서 한국 드라마를 틀어놓고 있는데 제 마음을 편하게 해주려고 그냥 한국 드라마를 틀어놓고 보여줬습니다. 그런데 그 때 당시 제가 본 드라마는 천국의 계단이라고 한 40, 50부작 되는 한국 드라마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솔직히 북한에 있을 때 공산당원이라 이 한국 드라마를 잘 안보려고 했고 그저 혼자서 나라를 지키려고 했고 장군님 받들고 산다 이렇게 결심 먹고 있었던 사람이었거든요. 그런데 이 외로운 저를 친구가 불러서 위로해 주려고 그 드라마를 보여주는데 드라마를 보니까 내가 생각했던 대한민국이 아닌겁니다. 제가 교육을 받으면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은 썩어빠지고 집도 없고 기와도 없는 벼짚으로 씌운 거짓촌이줄 알았는데 제가 드라마 천국에 계단에서 나오는 사람들, 배경들 그 아파트들 보니까 엄청 멋있는겁니다. 그래 제가 제 친구보고 그랬죠. 아 이게 진짜 한국이 맞는거냐고, 한국애들이 우리를 말살시키려고 지금 가짜 영화를 만들어서 하는거 아니냐고 이렇게 물어봤죠. 그러니까 우리 친구가 아니야 한번 더 봐야지 뒤에 나오는 거 보면 안다고 했는데 아 실제 대한민국이 엄청 잘 사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그것에 충격을 받은뒤 한국이 진짜 이러나 머리를 갸우뚱 하다가 어느날은 제가 CD-R을 장마당에서 직접 사가지고 집에 있는 녹화기를 가지고 제가 직접 집에서 혼자 봤습니다. CD-R에 별에별 영화들이 많은데 천국의 계단을 다시 한번 봤고 그 후로 귀공자로 해서 영화들 그 X 나오는 영화들도 봤는데 아 이게 제가 배웠고 생각했던 대한민국이 진짜 아닌겁니다. 그래서 거기서 제가 대단히 놀랐고 아 내가 거짓말을 배웠구나 거지가 깡통 끌고다니고 거지가 많은 나라가 아니었구나라는 의혹감이 생기고 내가 생각하고 있는 장군님 받들고 조국 지킨다라는 생각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다음부터 제 생각이 바뀌어서 제 마음속에 축쳐져 있던 저도 한국 영화를 보고 힘을 많이 얻었고 그래 하루는 어느날 이제 우리 집에 라디오가 있었습니다. 라디오나 한국 드라마를 보고 단속 걸리면 죽습니다. 정치범 교도소를 가야되거든요. 그래갖고 라디오를 한번 들어보자해서 들었는데 주파수에 따라 삐삐 소리나고 영어 소리도 나고 별 소리가 다 나는 거죠. 그래서 한 번 들어보는데 라디오에서 노래가 나오는데 이선희의 노래와 나훈아 노래가 나오더라구요. 이게 우리가 북한에서 부르는 노래보다 라디오에서 듣는 노래가 더 상큼하고 그냥 마음이 푹푹 빠져들어가는겁니다. 그래서 CD-R로 녹화기를 보는 것을 매일 저녁 라디오를 듣기 시작했습니다. 라디오에서 듣다 보니까 제가 가장 잊혀지지 않은 노래가 있었어요. 제가 정말 혼자서 외롭고 쓸쓸할 때 그 노래를 들었는데 지금도 생각납니다. 꿈을 왔고 왔단다 내가 왔단다 슬픔과 외로움 모두 모두 비켜라 안되는 일 없단다 노력하며는 쨍하고 햇드는 날 돌아온단다 라는 이 노래가 저한테 딱 맞더라구요. 힘들 때면 이 노래를 통해 새 힘을 얻고 그런데 더 충격받은 것은 저는 여기 와서 알았는데 북쪽에 있을 때는 아 이것이 진짜 북한 사람들이 가서 하는 방송이 맞나라는 이런 생각 꿈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라디오 방송을 틀었는데 아 자유 북한 머 하면서 말이 나오는데 제목이 그때가 고향에서 떠나온 우리들이 이야기를 전달합니다라고 하고 남자분하고 여자분이 이야기를 하는데 들어보니까 짜고 하는 말이 아니고 진짜 북한분의 말투가 맞드라구요. 한분은 조금 한국톤으로 이야기하는 것 같고 한분은 저처럼 북한 사투리 북한 톤으로 이야기를 하는데 제가 한 수십번을 들었어요. 이게 진짜 북한 사람 맞나.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해주는데 한국에 가게 되면, 우리가 북한에서 배운 것은 한국에 가면 처음에는 돈을 주고 그 다음에 여자를 붙여주고 그리고 감옥에 넣어서 죽인다라는 말도 많았고 그래가지고 이렇게 생각했었는데 그 라디오 방송에서 나오는 그들의 경험담을 이야기하는 것을 쭉 보니까 와 이게 머야 내가 조국을 지킨다는건 이건 아니다 나도 자유를 찾아서 저들의 말을 믿고 내가 간다라고 내가 결심하기 전까지 수십번을 들었거든요. 그리고 마음 결심을 먹었습니다. 한국에 먼저 온 우리 동생이라든가 형님의 연락이 오기 때문에 그 때 형이 야 동생아 너 이제 마음이 바뀌어졌는가 라고 하드라구요. 그래서 형 알았어 갈게 준비해줘 내 마음의 준비를 갖고 있을테니까 준비를 하고 기다리겠다라고 했거든요. 그러던 어느날 2011년도 10월 31일에 사람이 우리 집에 와가지고 저를 이제는 여기서 뜨자해서 제가 가족과 함께 죽음의 강 눈물의 강 압록강을 건너서 12일 만에 태국에 도착했구요. 그리고 태국에서 한달정도 있어가지고 12월 그 해 12월 23일날 이 따스러운 대한민국에 입국을 했습니다. 그래가지고 오늘 이젠 여기 와서 생활을 자유롭게 해보고 하니까 그 때 내가 그 라디오를 듣지 않았다면 내가 한국에 와 있을 수 있었겠는가 라는 생각을 종종 해보고 있구요. 그리고 지금에 와서 이렇게 자유롭게 생활을 하고 아무 걱정 없이 있으니까 나도 이제 저 북한에 있는 친구들 친척들 어떻게 라디오 방송을 해서라도 내가 그들이 나처럼 듣게 되는 혹시 또 이렇게 열심히 해 가지고 한국에 올 수 있지 않겠나 라는 마음도 없이 않아 있어 가지고 지금은 이렇게 북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올리비아 이노스


감사합니다. 최정호님. 너무 좋은 이야기였습니다. 최금남 선생님 이제 발언해주십시오.



최금남


안녕하세요. 저는 2013년 11월 제 아내와 가족을 데리고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탈북민입니다. 제가 탈북하게 된 동기는 1992년 고난의 행군 들어가기 전에 제 아버지가 북한에서 괜찮게 잘나가는 간부였어요. 그런데 간부였는데 일을 조금 잘못했다고 해서 저희 아버지를 감옥에 데려다 잡아 죽였어요. 북한 정권에서. 그 때 제가 군사복무 할때니까 그래도 저는 아버지를 잡아 죽였어도 당과 수령을 위해서 충성을 해야한다라는 세뇌교육 때문에 생각이 바뀌지 않았어요. 아 저희 아버지가 잘못해서 죽었구나 이렇게 생각했지 저희 아버지 억울한 죽음에 대해서 호소도 못했고 한마디 발언도 못했어요. 그러던 과정에 제가 제대를 한 게 1999년도 김정일이 방침제대라고 하면서 제대 군인 10년을 한 사람을 집으로 보낸게 아니라 집단적으로 비행기 공장, 농장, 군수 공장, 탄광, 광산 여기로 보냈어요. 그래서 저는 거기에 휘말려가지고 비행기 생산 공장으로 갔어요. 비행기 생산하는 과정에 정말 힘든 생활을 시작했어요. 그러던 과정에 너무나 먹고 살기 힘들어서 장사일에 들어섰는데 그 때 당시 저희 형님이 국가안전 보위부에 계셨어요. 저희 형님이 제가 먹고 살기 진짜 힘드니까 나와라 내가 너를 도와줄게 먹여줄게 하면서 형님이 저를 불러줬어요. 그래서 제가 그 형님하고 한 10년 가까이 평양과 신의주, 원산, 함흥, 사리원, 해주 등 많은 곳을 다니며 동장사, 은장사, 금장사 하면서 큰 장사를 했어요. 그런데 장사하는 과정에 그것도 불법이라하여 저희 형님을 감옥에 갖다 넣고 고문해서 죽였어요. 그 고문 받고 제 아버지 돌아가시고 제 형님까지 돌아가시니까 그러니 머리가 휙 돌아버리네요. 이 정권이 사람이 살아가게끔 조건을 지어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조금만 살아가겠다고 발버둥 치면 왜 그것을 죽이느냐 거기에 제가 반감을 가지기 시작했는데 특히 제가 형님을 따라다니며 장사하는 과정에 형님이 보위부에서 보고 듣고 느낀 점을 저에게 하나하나 전수해주었어요. 이 사회의 나쁜 점과 자본주의 사회의 좋은 점 이것을 하나하나 가르쳐주면서 라디오를 하나 갖다주시네요 이 형님이. 저는 라디오를 그 때 당시 잘 몰라요. 그게 일본산 중고 샤프라는 라디오를 갖다주셨어요. 이것 주파수를 돌리니까 자유북한방송입니다라는 라디오에서 목소리 이상한 방송이 나오네요. 저는 거기서 북한에서 이루어지는 조선중앙방송입니다라는 게 나올줄 알았는데 북한자유방송입니다 라고면서 편안하게 말하면서 은은한 음악이 나오는데 이건 뭐야 하면서 귀를 기울이고 저녁에 그 때 낮에는 못듣고 저녁에 몰래 우리 엄마, 동생, 나, 우리 아내, 우리 아들 이렇게 모여서 담요를 쓰고 남이 들을까봐 귀를 기울이고 듣는데 거기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탈북민의 탈북스토리가 나오네요. 이야기해주는게. 실례들어 말씀하시면 여기 이만갑에 자주 출연하는 순실이 형님이 있어요. 이순실 이분이 8번 잡히고 9번째 탈북했답니다. 제가 거기에 용기를 얻었어요. 아 사람이 죽기를 각오하고 바깥세상으로 탈출을 하면 되는구나. 제가 군사 복무 중에 삐라를 한번 봤거든요. 그 때 박상학씨가 보냈는지 누가 보냈는지는 모르겠는데 부산 해운대 해변가에서 수영복을 입고 여자 남자들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거 그 다음에 마을 버스가 몇백대 도입되고 택시가 몇천대 나오고 그 때 본게 이게 진심이구나 라고 알게 되었고 그 다음에는 김영환씨라고 탈북 할 때에 중국 공안을 찌르고 중국 감옥에서 나왔다는 것을 쭉 이야기합니다. 북한으로 잡혀가지 않으려고. 그걸 듣는 과정에 나도 모르게 나도 갈 수 있겠구나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어요. 그런 생각을 가졌다가 저희 아버지랑 형님이 돌아가신 다음에 이제 도저히 여기서는 살 수 없다. 그런데 저희 어머니께서 말씀하시길 너도 여기 있다가는 잡혀 죽는다. 가라. 지금까지 우리가 라디오 듣고 TV 보고 우리 형님이 말씀하신게 거짓말이 아닐것이다. 바깥 세상이 어떤 세상이며 바깥에는 어떤 사람이 사는가 남자라면 한 번 도전해 볼 용기를 가져야 한다라며 저희 어머니가 가라고 밀어주시네요. 그 때 당시 저희 어머니가 72살이 됐어요. 제가 북한에서 떠나면 어머니 돌봐 드릴 분이 없어요. 그래서 제가 동생한테 어머니를 맡기고 내가 죽으나 사나 가보겠습니다. 가다가도 죽어도 여한이 없으니까 가겠다. 그런데 가도 나 혼자서는 못가겠다. 가족을 다 데리고 가겠다. 그래서 2013년 7월달에 제가 아내와 아들, 제 아들이 그때 당시 10살이 됐어요. 10살이 뭘 압니까 소학교인데. 어린 아들을 데리고 제가 백두산에 숨었어요. 백두산에 들어가서 제가 딱 한달 30일 땅굴 파고 단속을 심하게 해서 땅굴을 파고 낮에는 밤에 초저녁에는 산발 타는 연습을 했어요. 훈련을 해야 가잖아요. 저희 아들이나 아내가. 전혀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은 그걸 못합니다. 그래 안내자도 없으니까 저는 백두산에서 한달을 산에 오르는 훈련하고 그리고 한달 후에 안내자를 걷쳐서 두만강만 넘어섰어요. 무봉을 통해서. 그 신무성과 무봉 사이에 두만강을 넘어 들어와가지고 4일을 밤에만 행군했어요. 중국의 이덕백화까지. 낮에는 도로 변방에 공안이 계속 순찰을 했어요. 그래서 제가 그 단속을 피하려고 수림을 뚫고 밤에만 행군했어요. 4일밤 밤새 행군했어요. 하루에 100리씩. 이렇게 해가지고 제가 중국에 이덕백화까지 들어왔다가 이덕백화에서 고마운 분을 만나서 연길까지 가서 교회를 찾아갔습니다. 하나님한테 찾아가면 돌봐준다고 라디오에서 많이 나왔어요. 그때 탈북 스토리 나오면서 교회에 나가면 살려준다, 목사님들한테 전도사님들한테 빌어라. 그래서 중국 교회 5군데 갔습니다. 5군데 가서 5군데에서 다 쫓겨났어요. 내가 가족을 데리고 무릎을 꿇고 빌었어요. 살려달라고. 우리 가족은 북한에서 도저히 살 수가 없어서 도망쳤습니다. 저희 그 때 옷차림이 정말 말이 아니었어요. 신발 발가락 5개는 다 나갔고, 수림속을 헤맸으니까. 옷은 무릎은 다 까졌어요. 얼굴은 한 번 두달동안 샤워를 못했으니까 새까맣고 반짝반짝 이빨만 하얗지. 그런데도 교회에서는 중국 교회는 중국 공산당에서 조직하는 교회인지 내쫓네요. 들어오지말라고 탈북민이라 호소해도 내보냅니다. 그래서 너무 억울해서 돌아 나와가지고 이제는 이것이 아니다. 내 일은 내가 개척하자 해서 지나가는 사람마다 조선말 하는 사람 한국말 하는 사람 다 붙잡았어요. 살려주세요 하니까 어느 한분이 우리를 훈춘으로 팔아먹네요. 훈춘이 어디인지 몰랐어요. 그게 바로 시베리아 밑에네요. 그래서 거기 끌려가서 한달 반동안 돼지 목장에서 돼지 똥을 치우면서 노예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받아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그래 거기서 한달 반동안 일하다가 거기서 다시 도망쳤어요. 도망쳐가지고 다시 브러커를 찾자 해서 나와서 고마운 분을 만나가지고 우연히 한국까지 와서 지금은 이렇게 내 집, 내 차, 내 공장, 이렇게 마련해가지고 살고 있어요. 저는 현재 저희 아들은 다 컸어요. 스무살 되었지만 저는 그래서 교회를 못가게합니다 저희 아들을. 너무나 쫓겨난게 억울해서. 그래서 제 아들은 지금 대구 경북대에서 뭐 유명하지는 않아요 뭐 너가 거기서 마음껏 배워서 해봐 해서 경북대 경영학과에서 공부하고 저는 아내와 둘이서 함께 아직은 조그만 자금도 없고 그러니까 조그만 공장을 하나 하는데 탈북민 3만명 중 제조업을 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답니다. 그래서 나는 제조업을 한 번 해보고 싶어서 비행기 생산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금 설비를 몇 대 구입하고 제조업을 해가지고 지금 살고 있습니다. 제가 오늘 이 인터뷰를 통해서 선생님한테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이 지금 현 정부에서 대북전단금지법, 라디오 보내고 돈 1달러짜리 페트병에 쌀 200g, 300g 싸서 보내는게 그게 얼마나 북한 주민들한테 피와 살 같은 생명력인지 그걸 정부에서 모르고 있어요. 이 정부에서는 하나와 같이 북한에서 뭐라 할까봐 북한에서 총알 한 포 날아올까봐 탈북민들이 와서 자유를 구박하고 옥죄니까 지금 북한에서는 삐라 한장 못받아볼것이구요. 라디오 한번 마음놓고 못 들을 거예요. 전기불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그 때 우리가 여기서 적극적으로 삐라도 보내주고 라디오도 보내주면 저와 같은 분들 솔직히 말하면 제가 올 때 라디오를 거기에 놓고 왔어요. 그러니까 제 동생도 그 라디오를 계속 듣고 소식을 기다렸거든요. 한국에 도착했다는 암호를알고 왔었어요. 그래서 저는 동생도 여기로 데려왔어요 이제는. 저희 누나네 가족도 다 데리고 왔습니다. 여기 와서 너무 좋아서. 그러니까 그 라디오를 저와 같은 동일한 사람들이 많이 구매했을거에요. 반도체 라디오 작은 것. 그것 가지고 많이 듣습니다. 이 바깥 세상에는 어떤 사람들이 사느냐, 바깥 세상에 사는 사람들은 어떤 환경에서 사느냐를 하루 빨리 알려줘서 내부에서 사람들이 불러일으켜서 통일을 이루어야지 밖에서 아무리 경제 봉쇄한다고 해도 김정은은 눈썹 하나 까닥 안하고 옥죄고 죽이려고 노력해요. 이것을 막자면 반드시 라디오 삐라 이런 것을 통해서 외부의 소식을 알려줘서 최대한 빨리 하루속히 통일을 이루고 우리 북한의 저희 엄마 산소 가보지 못했어요. 저희 아버지 시체도 못찾았어요. 감옥에 넣고 죽이고. 저희 형님 시체도 없어요. 데려다 죽이고. 저희 장모님, 장인, 처제, 처형, 현재 사회에 이런 노예 사회는 전세계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빨리 갈 수 있게끔 도와주세요 선생님. 제가 말씀 많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올리비아 이노스


고맙습니다. 최금남님. 이렇게 이야기를 해주셔서 너무나 감동받았고 이제 하시는 모든 일들 계속 하시고요. 그리고 이제 형제분들도 자유를 찾아서 곧 오실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 이제 김지영 선생님 나오셔서 이야기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지영


안녕하십니까. 2013년에 대한민국 국민이 되서 지금 현재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김지영이라고 합니다. 사실 저는 2012년 11월까지 평양 시민으로서 살다가 12월에 고향에 있는 압록강을 걸쳐서 이렇게 대한민국에 오게 되었는데요. 대한민국에 오게 된 동기는 가정적으로 북한 정부에서 숙청을 당해야할 처지에 놓이게 되어서 일단은 살려고 북한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사실은 대한민국에 와서 살면서 북한에서 30년동안 그 북한 세뇌교육을 받으면서 나름 북한정권에 충성을 다하면서 살았다고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정부에서 하지 말라는 일은 될수록 안하는 방향으로, 북한 정부에서 선전하는 우리 민족 이렇게 행복하게 삽니다라는 부류에 속해서 북한 정권에서 보살펴 주는 대상으로 쭉 살아왔기 때문에 그 정권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던 1인이에요. 그런 정권에서 살다가 배신이라는 것을 당하고 보니까요 인간이 충성을 다했다가 배신감으로 돌아올때는 몇백배로 돌아오드라구요. 아 이럴바에는 우리 그냥 30년을 믿다가 죽느니 차라리 우리한테는 사실 미국이라든가 대한민국이 북한에서 교육을 받을때는 정말 반대되는 사상이라는 것으로 배워왔잖아요. 그래서 그쪽에 가서 내가 억울한 목소리라도 한번 내보고 죽으련다 이렇게 하고 사실 떠났습니다. 북한에서 한류를 접한다 대북 방송을 듣는다는가 아니면 대한민국의 한류를 접한다는 것은 90년도부터 시작됐지만 2000년도부터는 정말 북한 주민들이 이 대한민국의 한류를 정말 목마르게 기다렸었어요. 그전에는 북한의 드라마나 영화는 거의 80%가 체제 선전용이고 거짓말이고 현실과 너무 떨어진 이야기들이기 때문에 처음으로 북한 주민들이 대한민국 드라마를 접하거나 대한민국 뉴스를 접하면 80%는 거짓말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이게 계속 계속 전달이 되다보면 아 이게 어느때부터인가는 혹시 사실이 아닐까 이런 생각을 갖게 되는데요. 제가 탈북을 결심하고 가려고 하면 압록강을 넘어서 중국을 거쳐서 탈북 할 수 밖에 없는데 그 길을 떠나려고 듣기 시작했던 것이 바로 라디오인거에요. 라디오를 듣는 이유는 드라마 같은 것은 예술이니까 어느정도 저희가 알아들어야 할 이야기이지만 라디오를 듣게 된 다음부터는 그게 어느정도 정보로 저희한테 받아들여지드라구요. 새벽 2시부터 3시 사이에 라디오가 제일 잘 들리고 그 다음부터는 전파방송이 많이 흔들려서 잘 안들리기도 하는데 제가 충격적으로 들었던게 그 자유북한방송이라고 해서, 그 자유북한방송이라는 것을 제가 왜 기억하냐면요. KBS, SBS, 아시아방송하면 저희가 하나도 귀에 들려오는 단어가 없는 방송이에요. 그런데 자유북한방송이라고 하니까 아 북한을 아는 방송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먼저 했었어요. 대한민국을 와보고 나니 탈북민들이 만들어서 보내는 방송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북에서 들을때는 그래도 그 북한이라는 단어 하나가 방송사에서 딱 뜨니까 아 이게 우리를 저격하고 하는 방송이 아닌가 이런 생각으로 듣게 되었는데 고향에서 갔던 분들이 무사히 대한민국에 도착해서 우리를 죽이지 않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 그 고향의 사투리 그 사람들만 알 수 있는 그런 언어가 흘러 나올 때 가슴이 마치 뛴다고 해야 하는 건가요. 아 빨리 나도 저기 가면 혹시라도 내가 무사히 도착하면 우리 가족들의 별명을 한번씩 다 불러주리라. 아 니네들 거기서 그렇게 살지 말고 빨리 이곳으로 와라 하는 방송을 나도 한번 해봐야겠다. 꼭 가서 이 사람들의 진짜 삶을 내가 봐야겠다 이런 결심이 서게 되드라구요. 그래서 사실 이런 방송 대북 방송이라든가 북한의 자유를 알리는 대한민국의 한류 대한민국에 와서 살고 있는 탈북민들의 이야기 이게 북한에 남아있는 2300만 사람들에게 얼만큼 큰 역할을 하는지 몰라요. 북한 사람들은 이러한 것을 보면서 간접적으로 통일 준비를 한다고 저는 생각을 해요. 대한민국에서 또 미국에서 북한 사람들을 위해 기도해주시고 눈물을 흘리시는 분들을 보면 정말 정말 감사한데 우리는 늘 밖에 나와서 북한을 떠나 외부에 나와서 통일 준비를 한다고 해요. 아 우리가 언젠가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면 그때를 기다려서 우리가 통일 준비를 합시다 라고 말을 하지만 인터넷이 다 되고 오늘처럼 이렇게 우리가 영상으로 모여서 전세계가 모여 할 수 있는 것 통일 준비는 이미 밖에서는 준비가 되고 있어요. 다만 북한에 있는 사람들도 같이 해야 되는게 통일 준비가 아니냐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그게 바로 이 대한민국의 한류 북한에 보내주는 탈북민들의 메세지 그것들이 계속 계속 북한에 유입이 된다면 북한 주민들이 나름 통일 준비를 하고 있는 거에요. 북한 정권이 가장 두려워하는게 바로 이런 방송을 들으면서 북한 내부 사람들이 한반도의 통일을 꿈꾸고 자유를 갈망해서 언젠가 진짜 통일이 된다면 대한민국에서 흘러나오는 그 목소리 그 멜로디 그런 이야기들이 뭐 마음속으로 자연히 준비가 되지 않을까. 탈북민들이 대한민국에 와서 같은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말을 알아 못들어요. 그게 바로 이게 70년동안 분단이 되서 서로가 못알아듣는 외래어 같은거죠. 그런데 그 방송들이 계속 들어간다면 우리 북한주민들이 대한민국의 이야기를 알고 대한민국에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을 아는 것이 바로 방송으로 그들을 깨우쳐 주는 게 아닌가. 그래서 저는 이 대북방송이라든가 또 전단지라든가 라디오가 그만큼 북한 주민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그들이 그것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를 보고 또 이런 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항상 군사에서 그러잖아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그래서 적을 알아야된다. 그러면 탈북민들이 북한에서 그 북한 정권이 교육하고 있는 교육을 30년 40년 제대로 받은 사람들이라고 생각을 해요. 그 사람들이야말로 북한 사람들이 알고 싶어하는 또 간고하고 싶어하는 북한 주민들이 꿈을 꾸고 싶어하는 그런 포인트들을 제대로 찾아서 설명해 줄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거기에서 살던 사람들이 제일 궁금한 것들을 알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탈북민들이 이런 방송들을 더 많이 하는 것이 오히려 더 득이 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오늘 이런 시간을 통해서 저희 탈북민들의 목소리를 이렇게 1주일동안 오래오래 미국 전역에 알리고 전세계 알리는 북한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모든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사실 북한 주민으로 살면서도 가장 여기와서 북한 주민들을 생각해야하는 탈북자 입장에서 우리 수잔이라든가 또 올리비아 이런 분들이 북한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져주는 것에 대해서 정말 정말 감사하게 생각을 합니다. 예 감사합니다.



올리비아 이노스


네 김지영님 너무나 감사합니다. 이렇게 직접 들으니 감동이 되네요. 어떻게 북한 정권이 북한 주민들이 정보를 받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북한에 정보를 투입해야한다는 것 너무 감명 깊었습니다. 여러 청중의 질문이 들어오는데요. 이 질문을 지금 패널들에게 제가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질문은 우리가 개인적으로서 북한의 자유를 지원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개인 시민으로서. 최정호님은 없어지셨는데요. 지금 김지영님이나 최금남님이 답을 해주실 수 있겠습니다.



김지영


개인이 북한 주민을 위해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은 사실 북한에 자료들이 정상적인 통로를 거쳐서 들어 갈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이 개인에 정보를 주거나 그런 건 할 수가 없잖아요. 그냥 그 개인들이 바라는 마음이 합쳐져서 어떤 단체를 통하거나 어떤 사람들을 통해서 북한에 들어갈 수도 있구요. 그리고 북한 주민들을 돕기 위한 창구들이 여러개 있다고 생각해요. 미국에는 수잔이나 올리비아 이렇게 여러가지 북한 인권을 위해 투쟁하는 분들도 있고 대한민국에도 북한 주민들을 위해서 투쟁하는 모든 단체들이 있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의 마음이 합쳐져서 그 단체들 창구들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 북한에 있는 주민들에게 그나마 희망이 생기지 않을까 또 북한 내서 그냥 지나 오다가도 최금남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잖아요 북한을 떠나서 우리가 왔는데 정말 도와주십시오 살려주십시오 그들의 손을 놓지 말고 꼭 어느 구석에서라도 그런 사람들을 만났을때 진짜로 도와주십시오 이렇게 말씀드릴 수 밖에 없네요.



올리비아 이노스


최금남님 더붙여서 하실 말씀이 있나요?



최금남


제가 중국 교회에서 배척받았다고는 했지만 지금 여기 와 대한민국에서 살아보니까 이해가 가고 공감이 됩니다. 그 때 당시 중국 교회는 물론 좋지요 좋잖아요 그런데 중국 정부 중국 공산당 정부에서 너무 감시 탄압을 하잖아요. 그래서 탈북민들을 받아들여서 들키면 교회문을 닫아야 한답니다. 그러니까 어쩔 수 없이 내보냈어요. 울면서 가슴이 아프지만 내쫓았거든요. 그걸 그 때 당시에는 제가 오해했어요. 그런데 지금은 오해 풀렸습니다 선생님. 지금 여기 대한민국 와서 보니까 교회나 천주교나 불교나 종교에 자유가 아닙니까. 이 얼마나 좋은 세상이에요. 이 좋은 세상에 와서 생활하고 보살피고 따뜻한 이웃에 배려를 받으며 사랑을 받으며 특히나 이 바다 건너 바다 건너 미국에서까지 우리를 도와주는데 북한에서는 미국이 철저히 원수라고 합니다. 이 얼마나 나쁜거에요. 실제 우리가 와서 보니까 미국 정부나 전세계에서 우리 탈북민들을 도와주고 북한의 인권을 위해서 해방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지원금을 보내고 하는 것을 북한 인민들은 전혀 모르고 있어요. 그렇게 하고 제가 이번에 자유북한방송을 비롯해서 라디오 특히 삐라 이런데서 많은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은 저도 물론 많은 노력을 하겠습니다. 이제부터는. 속담에 쥐가 소금을 녹인다 속담이 있어요. 한국 속담에. 그러니까 자그만한 힘도 작은 불씨도 그게 나중에 자라고 자라서 거대한 봉화가 이루어집니다. 산이를 이루어요. 이렇게 나같은 사람 오늘은 3만명이지만 나중에는 30만이 되고 300만이 되고. 저희 형님이 보위부에 있을 때 말씀하셨어요. 지금 저도 자료 받거든요. 보위부 기밀자료를 봤어요. 우연히. 제가 신분증을 갖고 있어요 북한 보위부 신분증을. 보니까 중국으로 도망간게 고난의 시기에 120만명이 도망갔답니다. 그리고 현재 중국에서 사는 게 30만명. 여성들이 그 불법체류해서 살고. 대한민국으로 도망간게 3만명이다라고 자료책에 있어요. 제가 그걸 봤어요. 제가 와보니까 그게 거짓이 아니로구나라고 알았고 여기 와서 제가 오게 된것은 먼저 온 선배님들이 김영환씨나 박상학씨나 이런분들이 삐라도 보내고 라디오로 스토리도 말씀해주고 특히나 김성민 형님께서는 라디오를 북한사람들에게 많이 보내주잖아요. 특히나 강화도에서 보내주면 저희 집까지 그런데로 저녁시간에 들립니다. 이제 다른 분도 말씀하셨는데 밤에 9시부터 11시 12시까지 잘들려요. 여기서 이제 탈북민들이 자기 온 이야기 북한에서 있던 소식, 이순실씨랑 그 역전에서 애기 나서 제가 병간호 해준거 있는 사투리 그대로 말하니까 이걸 믿기 시작했으며 그래도 다는 안믿었어요. 북중 국경을 드나들면서 중국은 불이 밝고 북한은 너무나 새까맣고 이런걸 봤고 왜 북한에서 굳이 못나가게 하고 못들어오게 하고 못보게할까 북한에서는 보고 듣고 느끼는 걸 보지도 못하게 하고 말도 못하게 하고 표현도 못하게 합니다. 듣지도 못하게 하고. 왜 막을까 하는 것을 절실히 느꼈어요. 그런데 그건 사람들이 하지 말라면 더 잘합니다. 특히 지금 북한사람들은 30대 40대 사람들은 고난의 시기 다 겪은 사람들이에요. 이 사람들이 겉으로는 충성심을 부르짖지만 이 라디오 한번, CD, DVD 녹화기로 한국 드라마 미국 드라마 한편 두편 보게 되면 내가 10개 봐서 사상전향 된 것 보다 지금은 한번 두번만해도 그 사람들은 다 돌아섭니다. 특히 탈북 스토리 같은 거 귀한 탈북 스토리 같은 것을 많이 라디오나 편집해서 CD-R이나 USB 이런 것을 보내주면 북한 사람들이 빨리 들고 일어나고 여기서는 우리가 빨리 조직화되서 북한 정권을, 김정은 정권을 바꾸고 북한 주민들한테도 자유를 주고 삶을 주고 생활을 주고 따뜻한 이웃들이 살고 있다는 것 바깥 세상에도. 바깥에도 북한에서 하는 거 똑같이 하고 있어요 아닙니다. 이걸 알려주는 것을 저도 노력하고 선생님을 비롯해서 많이 노력해주시는 분들께 호소하고 싶습니다. 도와주세요. 탈북민들을 도와주고 북한 인민들을 위해 도와주세요. 저도 북한의 아버지 돌아가시고 저희 형님. 집안에 남자 3명있는 것 둘을 잡아가 죽였어요. 나는 그래도 조금 낫잖아요. 정치범 수용소 보내서 다 잡아 죽이는 이런 정권이 어디에 있어요. 세상에 없잖아요. 여기는 아무리 살인죄했어도 총살은 안합니다. 무기징역은 해도 총살은 안해요. 그런데 북한에서는 구리선 이만한거 잘랐다고 해서 총살하고, 저희 형님은 먹고 살기 힘드니까 보위부 직을 걸고 금을 좀 날랐다고 해서 밧줄 쇠줄을 목에 뒤에 걸고 죽였어요. 이게 어디 북한정권이에요. 이게 어디 사람 사는 세상입니까. 난 지금이라도 힘을 다하여 지금 나이 50 되었어도 이제라도 아닌게 아니라 내 손에 총만 쥐어주면 내 가서 몽땅 쏴죽이고 싶어요. 그런놈들을. 저들은 배부르게 잘먹고 잘사며 왜 일반 서민들은 못먹고 못살게하느냐구요.



올리비아 이노스


네 감사합니다. 지금 모든 한사람이 행동으로서 북한 사람들을 돕도록 해야되겠습니다. 모든 작은 것들이 다모여서 큰일을 이룰수 있다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 감사합니다. 최금남 선생님. 김지영 선생님 감사합니다. 내 최정호님은 지금 어디 가셨는데 오늘 패널에 공헌해주셔서 감사하고 이제 저희 두번째 패널을 진행하겠습니다. 지금 이 패널도 굉장히 흥미로울텐데요. 오늘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브루스 클리너


올리비아 너무 감사드리고요. 패널 분들께서 말씀해주신 거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어려움 겪으셨던 것 이겨내셔야 했던 것 한국에서나 그리고 북한에 지내셨던 것 너무 감동적으로 들었구요. 이제 한반도 분단 사진을 보면 남한쪽에서는 밝게 빛나고 경제적으로 발전된 것이 보여지지만 북한은 어둡고 빈곤과 가난 기아 등을 보여주는 위성 사진으로 알 수 있지요. 그렇지만 이런 희망에 대한 불씨도 많이 꺼진 일이 있지만 그렇지만 이러 중요한 심각한 문제들에 대해서 우리가 인지를 하고 우리가 여태껏 이어 두번째 패널분들께서 어떤 일들을 하고 계시는지 북한의 영향을 끼치기 위해서 어떤 활동을 해주고 계시는지 그리고 지금 정부에서 그 언론의 자유와 이런 것들을 막고 있는데요. 이게 북한에서도 경험한 것인데 남한에 오셔서도 이러한 일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경험하신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시구요. 수잔께서도 저희가 다른 이런 이벤트를 또 주최하기를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그래서 앞으로도 이제 북한에서 탈출하신 이런 분들 이제 다른 호스트 같은 거. 그래서 수잔께서 이런 아주 조직이 잘 된 이런 주제들을 가지고 그 월요일에 그 닉하고 올리비아 쉬버가 이야기를 하셨구요. 그 탈북자들께서 북한의 인권에 대해 말씀을 하셨는데 오늘은 이제 마인드 정신을 연다 오픈 마인드 하는거에 대해서 말씀을 하셨고요. 그 북한 정부가 북한 밖에서는 이런 이렇게 일이 벌어진다 이런 것들이 정말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셨잖아요. 그러니까 이런 지식 마인드 정신을 여는 것 개방하는 것이 참 중요하다는 거 그런 주제로 오늘 말씀을 드리고요. 두번째 저녁 때 있을 것은 국경을 열어라 오픈 보더 이렇게 하고 특별히 북한에 있는 아동들의 어떤 실태가 지금 일어나고 있는지 어떻게 하면 인권 같은 것을 보장하고 우리가 지원할 수 있는지 이러한 이야기들을 해볼것인데요. 지금 우리가 대륙도 다른 곳에 앉아서 언어가 다른 두 언어로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지금 패널분들중에서 두분들과 연락이 끊겼어요. 그분들이 어디에 계시는지 아무튼 그분들이 어디에 계시는지 걱정도 되지만 그분들이 안전하시기를 우리가 바라고 기도하는바입니다. 그래서 첫번째 말씀 이제 패널하실 분들 지금 두분 패널이 안계시는데요 대신 지금 김성민선생님께서 북한자유방송에서 대신 나오셔서 그 두분 대신해서 자세하게 이분께서 이러한 정보를 북한에 라디오를 통해서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지 이런 일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실 것이고요. 두번째 말씀해주실 분은 최정훈선생님이시구요. 그리고 이제 뭐 케이팝이나 SD 카드 이런 것들을 통해서 그 선생님께서 김일성 군사 학교를 졸업하셨는데 그 다음에 탈북하시기전에 평양에서 건설회사에서 또 일하셨구요. 세번째 말씀하실분은 정세율 선생님이시구요. 그 물풍선을 통해서 전단지를 전달하고 이 선생님께서는 청진 공업 공사에서 일을 하셨고 2008년에 탈북하셔서 한국에 오셨구요. 그 남북 통일 연합에서 대표로 일을 하시구요. 자 이제 김성민 선생님께서 먼저 이제 음소거를 꺼주시구요 이제 선생님께서 하신 일에 대해서 좀 말씀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김성민


김성민입니다. 오늘 원래 제가 발언하게 안되어있었는데 지금은 최백호 내 말 들리나 들리면 손 좀 흔들어줘 들려 오케이 예 제가 오늘 원래 그 감사합니다. 제가 순서에 없었는데 제가 박상학 대표를 대신해서 패널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북한자유주간 행사를 준비하고 수고해주신 우리 수잔 솔티 회장님께 뜻깊은 자리를 마련해주신 것에 대해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헤리티지 제단 그리고 사회를 맡아주신 브루스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금 북한자유주간을 진행하고 있는 우리 공동체 준비위원장들 탈북자단체장들이 수난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박상학 대표가 북한자유기간내에 대북전단을 날리겠다고해서 대한민국 정부가 문재인정부가 그리고 경찰들이 박상학 대표와 우리 큰 샘 박정호 대표를 그냥 꽁꽁 별받아시피 해 놓고 있습니다. 평소에 이 사람들에 대해서 신변보호를 한답시고 경찰들이 늘 따라다니곤 했는데 이번 대북전단살포금지법이 나온 이후에 또 대북전단을 살포하겠다고 이분들이 선언한 이후에 경찰들의 행태를 놓고 보면 아 이건 신변보호가 아니라 이미부터 쓰여져있던 감시 통제 시스템이었구나 라는 것을 저희들은 아주 절박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우리 탈북자들이 북한에 보내는 대북전단 그리고 라디오 그리고 USB 노트텝 이런 것들은 두고온 고향사람들에게 보내는 그 미안한 마음에 편지입니다. 우리만 여기에 와서 잘살고 있는게 너무 미안해서 가슴이 아파서 당신들도 사람답게 살아라 당신들도 외부정보가 차단된 그 쥐굴 같은데서 살지말고 세상밖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알고 자유를 찾기 위해서 투쟁하고 자유를 찾기 위해서 탈북하라 라는 메세지를 보내는 겁니다. 이걸 지금껏 대한민국 정부가 해왔습니다. 지금껏 그걸 반세기가 되도록 대한민국 국정원이 대한민국 국방부가 이런 일들을 해왔습니다. 너무나 이게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그런데 문재인 정권이 들어와서 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이란 것을 다수의 국회의원을 발동시켜서 통과를 시켜버렸습니다. 그래서 대북삐라 보내는 것을 이제는 법적으로 처벌을 받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다 아시겠지만 대북전단을 살포하면 3년 이상의 징역형, 3000만원 이상의 벌금을 내도록 만들었습니다. 이거는 현 문재인 정권이 과거의 대한민국 정권이 모든 이루었던 역사를 업적을 부정하고 정말 김정은 말에 눈치를 보는 이런 제 나름대로의 반역사적인 행위를 행태를 범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봅니다. 그 박상학 대표라든가 박정호 대표라든가 뒤에서 나오겠지만 우리 최정원 대표라든가 장세율 대표라든가 이분들이 정말 지금껏 박수를 받으면서 대한민국 정부의 박수를 받으면서 환영을 받으면서 사생결단하고 북한의 노트텔을 드려보내고 USB를 보내고 삐라를 보내고 라디오를 보내고 이랬던 것이 아닙니다. 앞서서 탈북자들이 증언한 바와 같이 저들이 정말 깜깜한 세상에서 살다가 정말 우물안에 개구리처럼 살다가 외부 소식을 접하는 순간에 마음이 열리고 그리고 저들이 차후 행동을 결심한 것 아니겠습니까. 이런 것들에 도움을 주자고 정말 기를 쓰고 해왔는데 이게 법적을 막혔다 정말 황당한 일이고 안타까운 일이고 격분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얼마 전에 대한민국 경찰에서 저를 참고인 조사랍시고 이제 조사를 하던데 당신이 박상학 대표와 그리고 최정훈, 장세율 대표 박정호 대표에게 자금을 조달했는데 그 출처가 어디냐. 그래서 제가 아니 우리 방송하기도 힘들어 죽겠는데 내가 무슨 돈이 있어 자금을 조달하냐 우리가 무슨 지하운동을 하는 사람도 아니고 내가 뭔 돈을 가지고 자금 도달을 하냐. 그런데 날짜까지 딱딱 집어서 이야기를 하길래 갑자기 생각 드는 게 있어서 아 내가 그런 일이 있었구나 라고 생각을 하고 답변을 했죠.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건 내가 보낸게 아니고 우리가 워싱턴에서 16차 북한자유주간 행사를 한 뒤에 우리 수잔 숄티 대표랑 그 북한자유연합 회원들이 맴버들이 그 바자회를 해서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아서 이걸 뿌리는 일을 하는 탈북자들에게 보내주라 그래서 수잔 숄티 대표가 그 돈을 저에게 준거에요. 그래 네가 이런단체 이런 단체 이런 단체 이름까지 꼭꼭 집어주면서 돈을 보내주라. 그래서 제가 전했던 적이 갑자기 생각이 나더라구요. 그때 마침 우리 수잔 숄티 대표가 또 보통 사람입니까. 그 영수증 꼭 받으라 해서 영수증까지 받아던 기억이 나서 그래 내가 그 영수증까지 보내죠 그리고 당신들이 지금 대한민국 안전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경찰이 맞아? 이런 탈북자 단체들의 뒷조사나 하고 응 그래서 김정은에게 잘보이려는 문재인 정권에 잘 보이고 이게 지금 말이나 된다고 생각을 해? 그리고 이런 조사를 하려면 이따위 전화로 하지 말고 와 나한테. 나 당신한테 찾아갈 마음 꿈에도 없으니까 정말 필요한거라면 영수증 받겠으면 와 라고 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게 단편적인 실례이긴 하지만 탈북자 단체들의 뒷조사를 하고 그리고 탈북자 단체들이 이런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여러가지 압박을 하고 뭐 이런 것들이 지금 문재인정권이 취하고 있는 소위 만행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지금 대북전단 살포를 막겠다고 지금 대북방송금지법도 통과시키려고 문재인 정부에서 이번에는 국회의원이 발의한게 아니고 문재인 정부에서 직접 이거를 지금 제언을 하고 국회에서 통과시키려고 하는데 이렇게 되면 그 수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들었다고 하고 그래서 세상을 알았다고 하는 미국의 소리 방송, 자유 아시아 방송 이런 것들이 막히게 되어있습니다. 이런 방송들이 지금 한국의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걸 문재인 정권이 장악하고 통제하겠다는 뜻인데 절대로 우리가 묵과해서는 안된다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만 하는게 아니라 행동도 해야한다고 생각을 하죠. 대북전단 막겠다고 지금 난리 났죠. 강화 인천. 아니 이 평화로운 대한민국에서 검문 검색을 하고 수사통이 지금 강화도로 빠져나오지 않나 인천으로 빠져나가지 않나 그걸 검문 검색을 하는데 미국 국민여러분. 브루스 선생님. 이게 말이나 됩니까? 이것은 다시 말하지만 북한 주민들에게 보내는 탈북자들의 사랑이다라고 믿고 있습니다. 대북전단 지금 가고 있습니다. 어제도 갔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가고 있을겁니다. 내일도 갑니다. 대북 방송 끊임없이 진행될 겁니다. 지금 문재인 정권이 끝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은 대북전단과 대북방송은 다시 말씀드리지만 역대 대한민국 정부가 수십년간 북한인민들에게 보냈던 정신적 양식이었음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고로 현 문재인 정권은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역사를 부정하는 정권이며 역사가 바로 서는 날 북조선 인민들과 대한민국의 엄중한 법에 의해 심판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을 말씀드리면서 제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브루스 클리너


네 감사합니다. 이제 최정훈 선생님 말씀해주십시오. 네 지금 최선생님 소리가 음성이 전혀 전달이 되지 않아서 통역도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지금 최선생님 다시 올때 우리 혹시 장세율 선생님 미리 진행할 수 있습니까? 네 발언해주십시오. 장세율 선생님. 마이크를 키시고 지금 마이크가 꺼져있거든요 장세율 선생님. 마이크를 키시고 발언해주십시오. 네 최선생님 지금 한국 통역말이 들립니까 손들어주세요 통역이 들리면. 장선생님 한국통역 들립니까? 장선생님. 김선생님은 제 통역 들리세요? 제 통역 소리? 김승민 선생님 통역 소리 들립니까?



장세율


네 장세율입니다. 아 네 감사합니다. 아 참 정말 앞서 김성민 대표님도 말씀 하셨듯이 이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서 저희 탈북 단체들 특히 북한 대북 정보 유입을 기본으로 하는 그런 단체들이 타격이 큽니다. 그들은 원천 차단을 목표로 해서 지금도 수색전과 추격전을 계속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 재미난 일이 있습니다. 저는 한 보름전에 저희 와이프하고 저희 강화도에 펜션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펜션에 갔다가 오랜만에 석모도나 보고 가자 하고 이제 떠났습니다. 이 석모도를 가려면 3년전에 다리를 건설했는데 석모 대교를 들어서니까 차량이 많드라구요. 차량이 순서대로 지나가려고 하는데 유일하게 군인들이 나와서 저 차를 세우는 겁니다. 그래서 저희 와이프도 놀랐고 제 자신도 놀랬지 이게 무슨 일이지 그것도 트럭도 아니고 이게 승용차를 가지고 가는데요 아 그래서 잠시 검문검색이 있겠다는거죠. 아니 앞에 차들은 다 거저 보내면서 왜 제 차량만을 검색을 하지 그래서 이제 왜 그러느냐 하니 등록된 차량이 되서 아 잠깐 실례를 하겠다는 겁니다. 뭐 그 군인이 잘못이 있겠습니까. 정부에서 하라고 했으니까 하는 행동이겠지만 아 정말 참 부끄럽고 많은 사람들이 제 차를 갓길에 세워놓고 검색을 하니까 그 바라보는 눈길도 정말 딱 범죄자를 바라보는 것처럼 아 그런거에요. 그래서 저희 와이프도 얼굴이 빨개졌구요. 그래서 제가 아니 이게 도대체 무엇때문에 그러느냐 그러니까 거기 소속 담당 장교가 하는 이야기가 아 여기에 석모 도로 아 이제 물풍선이라든가 대북전단이라든가 이런게 유입된다는 정보가 있어서 저기네가 감시 처소를 전개를 했다 이러는 겁니다. 아니 내가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이게 승용차에다가 그런것을 싣고 다니겠냐고 자가용차에 그래서 그리고 뭐 일단 거기에서 화풀이를 해봤자 안되겠으니까 돌아서긴 했는데 이게 돌아서면서도 참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아 이게 북한의 고향으로 보내는 이 편지까지 이렇게 막아서는 이 정부가 과연 진짜 북한 주민들을 위한 그런 정말 북한 주민들의 어떤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정말 진정성 있는 정부가 맞는가 이런 생각이 좀 들었습니다. 북한친구들도 제가 언젠가 이런 이야기를 했지만 최근에 북한의 정보 활동을 자제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현 문재인 정부가 김정은과 친하고 이제 친한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이제 정복에 가까운거죠. 그럴때 일수록 북한 사람들 북한 주민들도 몸을 사리는겁니다. 왜냐하면 한국측과 이제 연결해서 정보활동을 하던 그런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 이런 친북정권이 들어섬으로 해서 잡혀간 사례들이 없잖아 많습니다. 그래서 지금 북한 주민들도 진짜 북한에서 자유를 위해서 싸우는 그런 투사들도 문재인 정부의 이런 종속적이고 맹목적인 그런 성향을 상당히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북한의 지금까지 정말 많은 물풍선 김정은 대가리 물풍선이라고 저희가 이름을 명명 했습니다만 아 정말 이게 서해바다로 해서 진짜 많은 대북전단과 식량과 초코파이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 사랑하는 성도님들이 아 이제 자필로 쓴 편지들 많이 보냈습니다. 그래서 한 5년간 진행하던 사업을 아 이렇게 갑자기 중단을 하고 그리고 진짜 모든 이런 경찰의 수사 선상 그리고 요시찰 대상으로 되어서 활동이 전면 금지되니까 참 북한에서 북한 사회를 경험을 하고 대한민국에 와서 이제 처음으로 상대적으로 느꼈던 그런 느낌이 요즘 듭니다. 정말 이게 무서운 세상이 됐구나. 이게 이제는 우리가 바라는 인권활동 그리고 정말 통일 운동 과연 진짜 어렵겠구나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에 도착을 해서 제일 정말 분하다고 할까요 억울한 것이 이렇게 좋은 세상 아 이런 자유롭고 정말 풍요로운 이런 나라를 북한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고 적대적으로 생각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세상 내가 새 삶을 시작한 이 대한민국 이 내 조국을 내 형제 그리고 형제들과 친구들 제자들 모든 이들에게 알려서 그들과 이런 평화로운 자유 민주 통일을 가져오는데 조금이라도 이바지 해야겠다 그래서 대북 정보 유입 민주화 정보 유입을 좌우명으로 삼게 되었습니다. 많은 친구들이 대한민국에 오게된 기본 동기를 이런 대북전단이라든가 자유북한 방송 자유아시아 방송 이런 많은 대북정보들을 대북으로 들여보내는 우리 탈북민들의 목소리와 그리고 시민단체의 정보들을 접하고 시작을 했다는 이건 정말 숨길 수 없는 그런 진실입니다.



브루스 클리너


장선생님 하실 말씀 다 마치셨습니까? 혹시 결론적으로 마치실 말씀이 있으시면 덧붙여주셔도 됩니다. 장선생님 제 목소리 들리십니까?




장세율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진짜 북한주민들에게 희망인 그리고 정말 자유로 향하는 이런 마음과 가슴들을 짓밝는 문재인 정부에게 정말 항거하고 싶구요. 그리고 우리 이 북한 사람들 북한 주민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그런 삶이 무엇인지 잘 들어봐야 된다고 이 자리를 빌어서 경고하고 싶습니다. 참 어저께 저희 펜션에 통일부 정부 당국자들이 왔닥 갔습니다. 그분들은 제가 여기 강화도에서 펜션을 운용한지가 이제는 6년차네요. 단 한번도 그렇게 뭐 탈북자가 펜션을 운영한다고 들여다본 적도 없구요. 또 오직 오는 것은 이 경찰들 그리고 국방부 무장 군인들 그런 사람들이 와서 정부관계자라는 다 그런 사람들이 와서 대북전단 관련 무슨 수색이라든가 아 그런 이제 요청사항이라든가 뭐 이렇게 했어요. 새삼 저도 갑자기 이게 왠 일이냐 전화로 이야기를 할 때는 아 그래도 인권단체장이 펜션을 한다는데 펜션을 한번 방문하고 싶어서 그리고 자기네가 무슨 모임이 있을때 이용을 할까 이렇게 권유를 하면서 사전차 방문이다 뭐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그래서 제가 정중히 사절을 한다고 나는 지금 통일부가 행하는 그리고 통일부가 우리 탈북 단체들을 아 정말 감시하고 이 감시 정도가 아니라 억압이죠. 그렇기 때문에 통일부와 더이상의 대화라든가 뭐 이런 협의 이런 거는 없다. 그래 일단 왔습니다. 와서 그래도 새로 임명된 북한 인권과 과장님도 뵙습니다만 참 그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봐도 이게 현 정부의 반복적인 정책들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아니 자기네들도 부모형제들 그리고 동포들을 위한 메세지 전달 응원하고 싶다. 하지만 이 현정부에서 우리 공무원들은 어쩔수 없지 않냐. 그 말이 같습니다. 그래서 정부의 지시이기 때문에 자기네도 낯간지럽지만 이렇게 방문할 수 밖에 없었고 앞으로 대북전단이라든가 김정은 대가리 물풍선과 같은 그런 대북활동은 자제해줬으면 해서 겸사해서 들렸다는 겁니다. 그래서 저도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래 무슨 우리가 이렇게 진짜 이 대한민국에 와서 가장 그래도 하고 싶었던 일 그리고 성스럽게 생각했던 일 사람을 구원하는 그 일만큼 중요하고 성스러운 일이 없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북한에 있는 우리 동포들 그들을 해방하는 길에 조금이래도 기여한다하는 그런 자부심 하나로 살았습니다. 저희 탈북자들이 무슨 돈이 있습니까 뭐 정말 다른 사람들처럼 뭐 사회적인 명예가 있습니까. 그래도 그 자부심과 긍지 하나로 살았는데 그거를 이 정부에서 앗아갔습니다. 하나밖에 안남은 삶의 지탱점과 같은 우리의 자부심 긍지 형제를 구하고 내 친구를 내 손으로 구원한다는 그 일념으로 일해왔는 우리 탈북민들 탈북단체장님들 가슴에 비수를 박은 겁니다. 그래서 저는 이 북한 주민들이 바라는 그런 새 삶의 꿈이 다시 한번 되짚어보고 진짜 앞으로 저희 탈북단체장들 탈북민들이 보내는 북한에 편지 메시지는 영원히 계속 될 것이라는 말씀 이 자리를 빌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브루스 클리너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아주 중요한 정보 그리고 감정적으로 감동적인 이런 노력하신 것 그리고 북한의 인권을 진전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주셨는데요. 자 최정훈 선생님께서 이제 마이크 음소거 해제하시고 말씀을 해주시길 바랄게요.



최정훈


아 네 저 북한 인민의 반전성 최정훈입니다. 네 저희 북한 인민의 반전성은 군출신 단체들이 모인 탈북민 인권단체이구요. 2013년부터 저희는 북한에다가 꾸준히 외부정보를 들을 수 있는 이런 미디어 기기들을 놓고 그리고 많은 일을 해왔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 가지고 지금 현재까지 저희들의 활동 물론 저희들뿐만 아니라 많은 탈북민 단체 특히 북한에다가 보내야되는 대북 전단 대북 방송 이런 것을 지금 다 막고 있는데 저희 단체에서는 이렇게 노트텔를 들여보냈습니다. 이 노트티를 통해서 USB를 여기에다 넣으면 USB를 통해서 대한민국의 발전상이라든가 국제사회의 변화 그리고 SD카드 또 여기 CD 기계까지 넣어서 외부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가장 획기적으로 저희 단체에서 북한에 들여보내는 노트텔에 얘는 이렇게 TV 단자가 있어요. 이 단자가. TV 단자가 있어서 TV를 여기에다 단자를 꽂으면 중국방송을 중국TV를 볼 수 있습니다. 북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에서 2300만의 북한 주민들이 오직 주체사상과 김일성의 사상으로 세뇌되었기 때문에 외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없습니다. 1980년도부터는 중국을 통해서 조금씩 들어오는 외부정보가 98년도 2000년대에서는 대량적으로 중국을 통해서 USB를 비롯한 이런 여러가지 미디어 기기들이 들어왔죠. 당시에 우리 북한주민들한테 가장 유명했던 한국 드라마가 천국의 계단이었습니다. 아마 우리 오늘 증언하시는 분들 중에서도 북한에서 한국 드라마를 이야기하라고 하면 천국의 계단을 많이 봤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미국 영화 람보를 통해서 우리가 외부정보를 접했었는데 그 당시에 람보를 돌렸다는 이유 때문에 람보를 중국에서부터 북한으로 들여보냈다는 이유 때문에 749바라는 것이 조직되었습니다. 김정일이 람보 미국 영화를 보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가지고 그래서 당시에는 그 람보 테이프를 많이 거래했던 북한 주민들이 북한 당국에 의해 처벌을 받았고 이후에 대한민국의 노래라든가 뭐 여러가지 문화 컨텐츠들이 들어왔고 저희들은 그 문화 컨테츠들을 통해서 북한 주민들의 변화가 얼마나 빨리 오는가 하는 것을 저는 직접 피부로 느낀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북한 당국이 50년동안 계속 꾸준히 남한은 미국의 압잡이고 서울이나 이 남조선에는 미군이 장갑차를 끌고 다니고 뭐 서울에는 온통 거지들만 있고 이런 세뇌교육을 받았는데 이제 한국 드라마를 통해서 아 우리가 이걸 잘못 교육을 받았구나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대한민국에 와서 저 2300만 북한주민들에게 정보를 유입하는 것이 그들에게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구나 라는 것을 우리는 피부로 느꼈기 때문에 정말 십시일반으로 모아서 라디오 그리고 노트텔을 보냈었는데 이 노트넬이 들어갔을때 2002년도 노트텔을 통해서 북한 주민들이 중국에서 방영하는 월드컵 경기를 본인들이 직접 봤다는 증언들도 있었고 최근에는 저희들이 이렇게 라디오를 또 제작해서 들여 보내고 있습니다. 이 라디오는 어떤 라디오냐면. 최근 북한 당국이 핸드폰을 허용했기 때문에 북한에서 라디오를 소지하려고 하면 북한 당국에 꼭 등록을 해야 됩니다. 그러면 그 주파수를 맞추는 것을 북한 당국이 인위적으로 북한조선중앙방송만 들을 수 있게끔 고정을 해 놓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제 수색의 불시 검문이라든가 이런데서 등록이 안된 라디오가 나오게 되면 처벌을 받았죠. 그런데 가장 최근에는 이런 핸드폰으로 된 라디오를 저희들이 자체 생산해서 북한으로 들여보내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이어폰을 꽂을 수 있는 그리고 SD카드를 꽂고 드라마든가 이런 걸 노래를 들을 수 있는 장비가 되어있어요. 그래서 최근 북한 주민들에게서 이런 소식이 왔습니다. 라디오를 통해서 저희들이 들여보내는 라디오를 통해서 자유아시아방송, 자유북한방송 이 방송을 자기네가 들었는데 가장 중요한게 자유북한방송에서 제일 재미나는 프로그램이 뭐냐 했더니 인민군 24시라는 그 프로그램이 너무 재미나다고 그리고 결국 저희들이 직접 하는 방송이니까 그 라디오를 통해서 여러가지 방송을 들었데요. 특히 KBS 한민족 방송이라든가 그리고 이제 극동방송에서 내보는 여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주민들이 탈북민들이 직접 증언을 하고 탈북민들이 직접 발언을 하는 자유북한방송이라든가 그리고 여러가지 방송 내용을 접하면서 많은 라디오의 역할을 저희들이 느꼈고 최근에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서 지금 일체 중국을 통해서 북한에다 넣는 이런 외부 정보, 외부 기기 이런 공유를 대한민국 정부에서 막고 있고 가장 최근에 한 것이 북한으로 보내는 대북전단 이 박상학 대표님의 대북전단을 전면 금지 시키고 법으로까지 지정해놓지 않았겠습니까. 오늘 들어온 소식인데 우리 지금 현재 참여하고 있는 김성민 대표님도 좀 전에 전달을 받았으리라 보겠지만 박상학 박종오 이 두 대표가 지금 행불이라는 이런 메세지를 전에 받았었는데 두 분들이 의도적으로 경찰의 감시를 피해서 몸을 숨겼다고 하면 다른 문제가 없겠지만 이게 우리가 모르게 또 이렇게 이 현 당국이 이들을 혹시 체포하지 않았을까 하는 이런 우려를 가지고 있습니다만은. 예 물론 이렇게 되는 경우에는 대한민국의 3만5천명 그리고 5천200만 중에 대북전단이 북한에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이런분들은 아마 그들을 위해서 목숨 걸고 싸울 것이라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네 지금 우리 대한민국에서 현 정부에서 가장 잘못하고 있는 부분이 뭡니까? 탈북민들에 대한 반팔 국민 정체가 아니겠습니까. 문재인 정권은 2019년에도 대한민국을 탈북했던 탈북민 두명을 북한에다 북송하지 않았겠어요. 그래서 이 정부에서는 탈북민이 언제 쥐도 새도 모르게 특히 인권활동을 하는 특히 지금 자유주간 행사에 모든 참여를 하고 발언을 하고 있는 인권단체장들이 표적이 되어가지고 이 문재인 정권의 탄압에 직접적인 피해를 보지 않을까 이런 우려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죽어도 우리는 저 북한 2천300만 주민들을 위해서 이 정부가 아무리 통제를 한다고 해도 오늘은 내가 박상학이 되고 내일은 김성민 대표가 박상학이 되고 이렇게 해서라도 우리는 북한 주민들에게 폐쇄된 정권속에서 살고 있는 그들에게 자유와 인권을 가져다주기 위한 여러가지 활동을 꾸준히 해나가겠고 미국에서도 또 우리 지금 현재 자유주간 행사를 주관하고 계시는 수잔 숄티 여사라든가 해리티지 재단 이런 분들이 많은 응원과 그리고 기대를 저희들은 믿겠습니다. 네 저의 발언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브루스 클리너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렇게 아주 흥미있고 많은 것들을 배웠어요. 그런데 제가 하나 확인해서 여쭤보고 싶은 점이 있는데요. 그 문재인 정부가..아 여기서 아까 전에 말씀하셨었는데 미국이나 극동아시아에서 보내는 이런 것은요. 저희가 방송하는 거를 문재인 정부가 중단할 수 없다 이런 이야기를 하셨구요. 그리고 저희가 이제 말씀을 하겠는데요. 우리가 이런 메세지를 효과적으로 전하는데 대해서요. 그 북한에서 탈북하셔서 한국에 오신 분들이 있는데 아까 이분 질문은 이제 한국으로 이미 탈북하신 분들은 이분들이 이런 방송이나 정보를 얻으셨다는 것을 알겠지만요. 이미 북한에서 계신 분들 아직 북한에 계신 분들께서 그런데 이분들께서 너무나 이렇게 정부가 두려워가지고 친구나 정부한테 이야기를 안할 수 있잖아요. 그러니까 이제 북한 사람들한테 이런 정보가 얼마나 많이 전달되어 있는지 어떻게 우리가 알 수 있을까요? 아무나 답변해주셔도 되겠습니다. 그러니까 북한에 계신 분들이 이런 정보를 어느정도나 지금 접하고 계시는지.



최정훈


네 제가 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북한에 어느 정도 정보가 들어가있는지 그리고 북한 주민들이 어떤 처벌이 두려워가지고 이런 외부정보를 자기가 접하고 공유를 안하고 있지 않느냐 이런 내용이지 않겠습니까. 자 그런데 북한에서는 이제는 평양까지도 지금 우리 대한민국 정부가 하고 있던 대북전단을 김정원 정권하고 그 어떤 한반도 평화를 위한 회담을 통해서 서로 상호간에 금지를 하기로 했기 때문에 우리 현 정부에서는 이제는 대북전단 대북풍선이라는 것을 안보냅니다. 하지만 지난 6월에 김정은의 누이동생 김여정이가 화가 날 정도로 저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를 폭발해 버릴 정도로 그 대북전단이 북한 주민들에게 주는 이 영향력이 얼마큼 크다는 것을 우리 국제사회는 알아야합니다. 여기 멍청한 문재인 정부에서 그 김정은 정권에게 아부하면서 김여정이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를 폭파했다고 해서 우리 민간단체 자유북한연합이라든가 여러 탈북민들, 통일 연대 그리고 큰 샘, 이런 단체들이 북한에다 보내는 이런 모든 물품 전단을 금지시키지 않았겠습니까. 그러니까 그 개성이라든가 황해도쪽에서 전단을 통해서 외부 정보를 전달 받던 분들이 이제는 중국국경을 통해서 가장 먼저 양강도 그리고 함경북도, 압록강과 두만강을 끼고 있는 이 중국 국경을 통해서 USB, SD카드 그리고 노트텔, 라디오 이런 외부기기와 그리고 컨텐츠를 받아서 전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게 북한 정부가 탄압을 하기 때문에 이걸 전달받은 사람들이 두려워서 공유를 안하지 않느냐. 그런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북한 정부가 단속을 하면 할수록 북한 주민들의 호기심은 더 늘어나는거에요. 왜 저걸 저렇게 단속을 하지? 그러면 보고 싶은 마음과 몰래 숨어서 보겠다는 이런 의지가 있기 때문에 이상에서도 이제 한국 테이프라든가 외부정보를 보기위해서 전문 판매하는 사람이 있고 그 단골들이 그걸 사다가 내륙에까지 그러니까 접경지대가 아닌 저 내륙, 함남도 그리고 평안남도 황해북도 평양시 이런 곳에다가 장사꾼들을 통해서 계속 전달하니까 이런 정보는 아마 북한 주민들이 많은 사람들이 접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사람들을 어떻게 확인할 수가 있느냐 하는데 최근에 저희들이 1년에 한번씩 가장 최근 들어온 탈북민들을 상대로 인터뷰를 합니다. 이제는 7년동안에 저희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고 그 극동문제 연구소와 함께 하고 있는 인터뷰가 있는데 가장 많은 탈북민들을 통해서 인터뷰를 해서 들은 종합한 결과가 북한주민들이 이제는 외부정보 한마디로 말하면 국제사회의 변화된 모습을 담은 이런 영상들을 통해서 이제는 북한 주민들이 김정은 정권에게 충성을 안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본인들이 남한 드라마를 본 경험이 있느냐 그랬더니 누구나 한번쯤은 다 봤다는 그런 경험을 가지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이건 구체적으로 2300만명 중에 외부정보를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접했는지는 우리가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은, 대다수의 탈북민들 그리고 대다수의 북한주민들이 이 외부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 저희들은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김성민


예 저도 한 말씀 해도 될까요?



브루스 클리너


하십시오. 하십시오.



김성민


그 자료가 있습니다. 그 2009년도 2010년도에 미국 산하 방송 위원회에서 자유아시아방송과 미국의 소리 방송 북한 내부의 시청률을 조사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했는데 거기서 뭐 비공개이기 때문에 말씀 드리지는 못하겠습니다만 18% 이상의 북하주민들이 라디오 방송을 듣고 있다라는 이런 청취자료가 나왔어요. 이 대상은 200명의 탙북자들 그리고 여권을 가지고 중국에 사사여행을 나왔던 20%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했는데 그렇게 나왔고 물론 비공개여서 여기서 말씀 못드리겠습니다만. 2008년에 탈북자 200명을 상대로 외부 라디오 조사를 한 외국 기관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200명 대상으로 했는데 73명의 탈북자들이 들었다고 했구요. 그리고 2009년에도 또 이런 조사가 있었는데 200명을 대상으로 했는데 98명의 탈북자들이 라디오를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했습니다. 물론 라디오를 들었기 때문에 탈북한 숫자라고 봐야할 것입니다. 전체가 라디오를 이렇게 들었다면 북한이 뒤짚어졌어야죠. 그리고 2011년에 이화여대 통일연합 연구회에서 탈북자 196명을 상대로 외부 드라마를 본 것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는데 173명이 들었다고 했습니다. 87%입니다. 어마어마한 숫자죠. 그리고 2012년에 200명의 탈북자를 상대로 외국과 국내의 NGO단체에서 조사를 했는데 여기서 165명의 탈북자들이 라디오를 들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3월에 일본에 납치 문제 대책 본부에서 일본정부에서 또 탈북자 2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여기는 좀 특징이 있었어요. 2016년 이후에 온 탈북자 그러니까 국경지역을 국경지역에서 탈북한 사람 10%를 넘지 않게 북한 전역에서 온 탈북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여기서도 약 70%이상의 설문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이건 북한주민들이 그만큼 외부소식에 목이 말라 있고 갈급해있고 또 외부소식을 접하면 탈북을 하드라 뭐 이런 반증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제가 라디오를 해서가 아니라 라디오를 차치하고라도 대북 삐라 한장, 이게 북한 주민들에게 보여줬을 때 그 마음에 충격은 정말 상상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충격적이니까 그런 라디오 그리고 북한 해방 인민 전선에서 보내는 그 노트텔, USB. 이 친구들이 또 무엇을 하냐면 최정훈 대표가 이야기를 못했는데 휴대폰에서 들어가는 SD카드라는 쪼그만 칩이 있어요. 거기에 소위 한류 KPOP 이런것들이 내가 한번 보니까 거의 800개 이상이 들어가드라구요. 그런 것들을 계속 들여보내기도 하는데 이런 것도 북한 당국은 막겠다고, 그 SD카드가 들어가는 칩을 칩 구멍을 아예 막아버리고 통제 라디오 채널을 막듯이 그리고 최근에 생산된 라디오는 SD카드가 들어가는 그 구멍 자체를 아예 없게 만듭니다. 그만큼 여기서 탈북자들이 외부소식을 전한다고 하면 저기에서는 막고 우리 장세율 대표처럼 김정은 대가리를 그린 물풍선을 만들어서 서해바다에 띄우면 한국정부가 막고 뭐 이런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북자들은 정말 이게 필요하다고 하고 북한자유연합 같은 해외동포들은 이런 탈북자들을 지지해주고 이런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가동하기 때문에 이게 문재인이 그냥 그만두라고 해서 그만두지는 않을 것 같고 꾸준히 진행되게 될 것이고 가장 중요하게는 이거 대한민국 정부가 각오했던겁니다. 이거 지금 노무현 문재인 정권에서 안하겠다고 하니까 탈북자들이 하는건데 이거 이제 노무현 정권은 갔고 문재인 정권도 가고 뭐 정권이 무한하지 않지 않습니까? 가게 되면 대한민국 역사는 다시 바로 설거고 탈북자들도 정말 보람있게 일을 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합니다.



브루스 클리너


대단히 감사를 드립니다. 이제 7시에 바로 중단을 해야하기 때문에 다음에 또 세션이 있거든요. 이사벨라 파운데이션이 있기 때문에요. 다른 질문은 아직 하지는 못하겠는데요. 여기 지금 오늘 기술적으로 몇가지 문제가 있었었는데요 어쨌든 패널분들 선생님들께 굉장히 많은 감사를 드리고요. 그리고 이제 이런 정보가 북한에 얼마나 넓게 퍼져있는지를 알게 되니까 이것이 참 저희가 도움이 되고 용기를 얻게 되네요 말씀을 들으니까. 그래서 앞으로도 더 많은 방법을 통해서 북한 주민들에게 이런 소식을 전하고 그리고 이제 한국 드라마든지 이런 강력한 정부 정권에 대해서 이런 메세지 보다 드라마라든지 노래라든지 이런 부드러운 방법을 메세지를 전하는게 참 효과적이다라는 것을 말씀해주신게 저에게 참 인상적이었구요. 그리고 이렇게 여러가지 두가지방면에 장애, 이렇게 북한에서도 막고 남한에서도 막고 이런 표현의 자유 같은 것을 막고 한국에서도 이렇게 못하게 막고 이런 이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겪으시는 것에 대한 심심한 위로를 전하고요. 저희 이제 헤리티지 파운데이션에서는요 이렇게 패널분들께서 북한에서 오신 여러 선생님들 그리고 수잔 숄티, 다른 조직해주신 관련자분들께 기회를 주신 것에 대해 감사를 드리고요. 어둠의 촛불을 저희가 빛을 발하는 밝힐 수 있는 이런 기회를 주신 것들 감사를 드리고요. 희망을 잃지마시고 북한에서 계속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들께서 이렇게 몇년동안 다년동안 북한의 인권을 위해서 이렇게 일해주셨는데요. 패널분들 너무나 감사를 드리고요. 우리가 이제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